반응형

스테가노그래피 46

[Root Me] Dot and next line - MISC

스테가노그래피 카테고리에 분류된 Root Me에서 제공하는 Easy 난이도의 문제 어떻게 보면 어려울 수 있는데 방법을 알고나면 아주 쉬운 문제이다. 풀이수가 문제의 난이도를 증명해 주고 있다. 문제에서 주어지는 것은 journal.jpg 파일이다. 뭔가 프랑스어 처럼 보이는 말로 길게 써있는데 일단 내용은 무슨뜻인지 모르겠다.. 문제의 제목인 "Dot and Next line" 이 가장 큰 힌트이다. 그림 속 문장에 있는 점(dot) 들을 이용해 문제를 풀어주면 된다. Next line 이라 되어있어서 점이 나온 후 그 다음 줄을 어떻게 하는것이라 생각할 수 있는데 그렇게 되면 마지막 점에서 할게 없어져버린다. 여기서는 위 그림과 같이 점이 있는 위치 바로 위에 있는 알파벳을 읽어주면 된다. 각 점 위..

워게임/Root Me 2023.11.29

[Root Me] WAV - Spectral analysis - 포렌식

Root Me에서 제공하는 Wav 파일과 관련된 스테가노그래피 문제 별다른 설명없이 그냥 wav 파일이 하나 주어진다. wav 파일 들어보면 알아들을 수 없는 우우웅 하는 소리가 짧게 나고 끝이난다. 원래 CTF에서 이런 wav 파일이 주어지면 Audacity 라는 도구를 많이 사용한다. 해당 도구를 사용해서 이미 문제도 많이 풀어봤다. (https://hackingstudypad.tistory.com/6) (https://hackingstudypad.tistory.com/178) (https://hackingstudypad.tistory.com/339) 이번에는 다른 도구로 풀어보려고 한다. Audacity 가 설치하기 귀찮다면 그냥 온라인에서도 쉽게 해결할 수 있다. https://musiclab.c..

워게임/Root Me 2023.09.15

[CTFlearn] Read in Color - 프로그래밍 / Zsteg

CTFlearn 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래밍 문제 프로그래밍 문제인데 프로그래밍 안하고 풀어버렸다. 문제 설명에 힌트가 써있다. Python 의 Pillow 라이브러리가 도움이 될것이라고 알려준다. PIL을 사용하는 문제는 이전에도 많이 다뤄서 아마 비슷한 유형을 것이다. (https://hackingstudypad.tistory.com/588) 이게 문제에서 주어지는 이미지다. 6개의 색깔이 있는 블럭이 보이는데 아마 PIL 라이브러리로 각 픽셀의 RGB 값을 뽑은 뒤, 그 값을 ASCII 코드로 바꾸면 플래그가 나올 것이다. 전형적인 문제 유형이다. 조금 다른 방법으로 시도해봤다. zsteg 라는 도구가 있는데 png 파일과 관련해 스테가노그래피 문제를 풀 때 사용하는 도구이다. 앞에 -a 옵션을 줘서 ..

워게임/CTFlearn 2023.09.01

[CTFlearn] The Adventures of Boris Ivanov Part 2 - 프로그래밍 / PIL

CTFlearn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Hard 난이도 문제 지난 Old memories 와 비슷한 문제이다. (https://hackingstudypad.tistory.com/584) 이번 문제 역시도 스테가노그래피와 관련이 있다. 문제 설명을 보면 중요한 정보가 담긴 종이가 찢어졌는데 이걸 복원해야 한다고 한다. 원본의 크기는 500*500 이라고 주어진다. 문제 파일을 열어보면 정말 사진을 세절기에 넣은것처럼 세로 1픽셀, 가로 500픽셀로 500 조각이 나있는 이미지를 볼 수 있다. 프로그래밍 카테고리에 있으니 프로그래밍 해서 이걸 다 이어붙이라는 의미인듯 하다. 이번 문제는 Python PIL 라이브러리를 이용해서 풀었다. PIL은 Python Imaging Library의 약자로 파..

워게임/CTFlearn 2023.08.05

[CTFlearn] Old memories - 프로그래밍 / PIL

CTFlearn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Hard 난이도 문제 이번 문제는 Hard 치고는 쉬운 편이다. 카테고리도 프로그래밍 보단 스테가노그래피에 가까운것 같다. 문제에서 주어지는 것은 1.png, 2.png 두 개의 파일이다. 이전에 블로그에서 유사한 문제를 다룬적이 있었는데 거의 그대로 하면 된다. (https://hackingstudypad.tistory.com/125) 이번 문제는 Python PIL 라이브러리를 이용해서 풀었다. PIL은 Python Imaging Library의 약자로 파이썬으로 이미지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해주는 라이브러리이다. pip install image pip install pillow 두 명령어를 이용해서 다운로드 받아주면 된다. from PIL impor..

워게임/CTFlearn 2023.08.01

[CTFlearn] Bobby Toe's iPad - 포렌식 / Stegsolve / HxD

CTFlearn에서 제공하는 Hard 난이도의 포렌식 문제 다 풀고 보면 그렇게 어렵지 않은 것 같은데 푸는데 시간이 꽤 걸렸다. 문제에서 주어지는 것은 bobbytoesipad.png 파일이다. 해당 파일을 HxD 로 열어 iend 문자열을 검색해 PNG 파일의 맨 끝으로 이동해보면 파일이 정상적으로 끝나지 않고 뒤에 데이터가 더 있는 모습이 보인다. FF D8 FF E0 로 시작하는 데이터가 있는데 이건 JPG 파일의 시그니처 이다. PNG 파일 뒤에 JPG 파일이 숨어있는 것이다. FF D8 FF E0 부터 파일의 맨 끝까지 복사한 뒤 새로만들기로 ipad.jpg 라는 이름으로 저장해줬다. 파일의 맨 처음을 보면 congrats you found me! you win an iPad! 라는 문장이 보..

워게임/CTFlearn 2023.07.12

[n00bzCTF] LSB - 포렌식 / Stegolsb

wav 파일과 관련된 스테가노그래피 그동안 스테가노그래피 문제를 풀때 다양한 도구들을 사용했었는데 이번엔 또다른 도구가 등장한다. 문제에서 주어지는 것은 chall.wav 파일이다. 틀어보면 그냥 삑삑 거리는 소리가 나고 끝난다. 문제 제목이 이번 문제풀이의 힌트가 된다. 쉘에 pip install stego-lsb 를 입력하면 문제푸는데 사용할 도구를 다운받을 수 있다. 이렇게 잘 실행이 되는것이 보인다. 사용하는것은 간단하다. stegolsb wavsteg -r -i -o -b 이렇게 입력해주면 된다. 바이트 수는 더 크게 조정해도 상관없다. 이번 문제의 경우 플래그가 앞쪽에 위치하고 있어서 100 정도만 해도 충분히 문제를 풀 수 있다. 실행하면 이렇게 flag.txt 파일이 생성되고 해당 파일 안..

CTF/포렌식 2023.07.01

[HeroCTF] PNG-G - 포렌식 / Stegoveritas

PNG 파일과 관련된 스테가노그래피 문제 이전까지 블로그에서 다루지 않았던 새로운 도구로 풀어볼 수 있다. 이게 문제에서 주어지는 pngg.png 파일이다. zsteg 같은 png 스테가노그래피 도구를 이용해서 봐도 특이한 점이 보이지 않았고 HxD 로 열어서 봐도 별다른 특이한 점이 보이지 않았다. https://github.com/bannsec/stegoVeritas GitHub - bannsec/stegoVeritas: Yet another Stego Tool Yet another Stego Tool. Contribute to bannsec/stegoVeritas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검색하다보니 stegoVeritas..

CTF/포렌식 2023.06.03

[D^3CTF] d3gif - MISC / PIL

git 파일과 관련된 스테가노그래피 문제 포렌식 느낌인데 MISC 로 분류되었다. MISC는 miscellaneous의 약자로 여러가지 잡다한 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문제에서 주어지는 (x,y,bin).gif 파일은 이렇게 생겼다. 자세히 보면 뒷 배경의 색깔이 계속 바뀌는데 여기에 뭔가 숨겨진 메세지가 있을거라고 생각했다. 문제는 Python PIL 라이브러리를 이용해서 풀었다. PIL은 Python Imaging Library의 약자로 파이썬으로 이미지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해주는 라이브러리이다. pip install image pip install pillow 두 명령어를 이용해서 다운로드 받아주면 된다. from PIL import Image, ImageSequence path = "./gg..

CTF/MISC 2023.05.29

[angstromCTF] Physics HW - MISC / Zsteg

간단한 png 파일 스테가노그래피 문제 스테가노그래피는 데이터를 은폐하는 기술을 말한다. 사진파일이나 음악파일 등에 비밀데이터를 숨겨서 전송하는데 사용한다. 포렌식 느낌이지만 MISC 에 분류되어 있었다. MISC는 miscellaneous의 약자로 여러가지 잡다한 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문제에서 제공되는 physics_hw.png 파일은 이렇게 생겼다. 정말 말 그대로 물리 숙제 사진이다. 하얀 배경이라 잘 안보이지만 아래쪽을 보면 뭔가 비어있는 공간이 보인다. 처음엔 여기에 데이터를 숨겨놓은줄 알고 한참 찾았는데 여긴 아니었다. 예전에 유사한 문제를 두번정도 포스팅 한 적이 있었는데 스테가노그래피 문제에서 PNG나 BMP 파일이 주어질 경우 유용하게 쓸 수 있는게 zsteg 라는 도구가 있다. ..

CTF/MISC 2023.05.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