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XSS 12

[CODEGATE2022] CAFE(동영상) - 웹해킹 / XSS / CLOVA Dubbing

코드게이트 대회 이후 진행된 코드게이트 해킹 시연 동영상 공모전에 제출했던 동영상이다. 결론적으로 수상은 못했지만 만들어놨는데 묵혀두기 아까워서 블로그에 업로드한다. 해킹 시연 동영상 주제를 뭘로 할까 생각하다가 공모전 문구에 있는 '특히 초급 영상을 환영합니다' 라는 부분을 보고 CODEGATE2022 웹해킹 1번 문제였던 CAFE 의 풀이과정을 동영상으로 만들어 보면 어떨까 싶었다. https://clovadubbing.naver.com/ 클로바더빙 동영상에 보이스를 더하다. 원하는 문장을 입력만 하면 생생한 AI 더빙이 뚝딱. clovadubbing.naver.com 더빙은 어떻게 해야하나 찾아보다가 네이버에 클로바 더빙이라는 좋은 서비스가 있어서 해당 서비스를 이용해 더빙을 만들어 제작했다. 최대..

CTF/웹해킹 2023.09.25

[CODEGATE2022] CAFE - 웹해킹 / XSS

코드게이트2022 예선에 출제되었던 XSS와 관련된 웹해킹 문제 문제 페이지에 접속하면 회원가입을 요구하고, 회원가입을 한 뒤 로그인해서 들어가면 이렇게 게시판 형태의 페이지가 나온다. if( isset($data['title']) && isset($data['content']) ){ $title = htmlspecialchars($data['title']); $content = $data['content']; if (strpos($content, '' . ''; break; case 'p': case 'span': case 'b': case 'h1': case 'h2': case 'h3': case 'h4': case 'h5': case 'h6': case 'strong': case 'em': case..

CTF/웹해킹 2023.09.24

[BSidesCTF] CSP 1 - 웹해킹 / XSS

예전에 풀었던 문제인데 캡쳐를 제대로 해놓지 않아서 풀이가 조금 미흡하다. 문제 제목과 내용에서 알 수 있듯이 CSP 를 우회하여 XSS 를 해야하는 문제이다. CSP 는 Contents Security Policy 의 약자로 XSS 취약점을 완화하기 위해 사용된다. XSS 로 인해 임의의 스크립트가 실행되지 않도록 제약을 거는 것이다. 플래그 경로는 /csp-one-flag 라고 한다. 문제 페이지에 접속하면 이렇게 나온다. Enter your payload 부분에 페이로드를 입력해 공격을 성공시키면 된다. SUBMIT 을 누르면 페이로드가 admin 에게 전송되어 admin 이 읽게 된다. F12를 눌러 개발자도구의 네트워크 탭으로 Response Header 를 확인해보니 CSP 가 위와 같이 설정..

CTF/웹해킹 2023.04.24

[DiceCTF] Babier CSP - 웹해킹 / 크로스사이트스립트 / CSP

문제 제목처럼 CSP 를 우회하여 XSS 를 해야하는 문제이다. 문제페이지 주소와 쿠키를 탈취해야할 대상인 Admin Bot의 주소가 주어지고 index.js 소스파일이 주어진다. 일단 문제페이지에 들어가봤다. 아래쪽에 View Fruit 라는 버튼이 있는데 이 버튼을 누르면 URL 의 name 파라미터에 apple, orange, pineapple, pear 네 가지 과일이 랜덤하게 들어가고, 그 값을 보이는것처럼 웹페이지에 적어준다. 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const crypto = require("crypto"); const config = require("./config.js"); const app = express() const port = process..

CTF/웹해킹 2023.03.02

[LACTF] metaverse - 웹해킹 / 크로스사이트스크립트

기존에 풀었던 XSS 문제보다 조금 더 어려웠던 XSS 문제이다. 문제페이지 주소와 함께 소스코드인 index.js 파일이 주어진다. 문제 페이지는 크게 두가지 구성으로 되어있다. 회원가입하고 로그인 한 뒤 게시글을 작성할 수 있는 페이지와 관리자에게 특정 url을 전달해 해당 url로 관리자가 접속하도록하는 페이지가 있다. 문제 구성상 XSS 취약점이 존재하는 포인트를 찾아서 해당 url을 관리자에게 전달해 관리자의 중요 정보를 탈취하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우선 securityman 이라는 계정을 만들어서 로그인해 보았다. 특이한게 ID와 비밀번호 외에도 metadisplay name 이라는 값을 입력받는다. const accounts = new Map(); accounts.set("admin", { ..

CTF/웹해킹 2023.02.26

[Root Me] XSS DOM Based - AngularJS - 웹해킹 / 크로스사이트스크립트

Root Me에서 제공하는 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트 문제 이전에 포스팅 했던 문제들과 비슷한 맥락이다. (https://hackingstudypad.tistory.com/48) (https://hackingstudypad.tistory.com/297) (https://hackingstudypad.tistory.com/334) (https://hackingstudypad.tistory.com/362) 지난 문제들 풀이를 보면 조금 이해하기 쉽다. 문제설명을 읽어보면 이번 문제의 목표 역시 admin 의 session cookie 값을 훔치는 것이다. 문제페이지에 접속하면 이런 화면이 나온다. Name Encoder 라고 적혀있고 Main과 Contact 페이지를 이동할 수 있다. Main 에서는 Enter ..

워게임/Root Me 2023.01.04

[Root Me] XSS DOM Based - Introduction - 웹해킹 / 크로스사이트스크립트

Root Me에서 제공하는 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트 문제 이전에 포스팅 했던 문제들과 비슷한 맥락이다. (https://hackingstudypad.tistory.com/48) (https://hackingstudypad.tistory.com/297) (https://hackingstudypad.tistory.com/334) 지난 문제들 풀이를 보면 조금 이해하기 쉽다. 문제설명을 읽어보면 이번 문제의 목표 역시 admin 의 session cookie 값을 훔치는 것이다. 문제페이지에 접속하면 보이는 화면이다. Main 과 Contact 버튼이 있고, 아래는 숫자를 입력할 수 있는 칸이 있다. Choose a number between 0 and 100 이라고 적혀있는데 77이라고 테스트삼아 입력해보고 ..

워게임/Root Me 2022.12.23

[Root Me] XSS - Reflected - 웹해킹 / 크로스사이트스크립트

Root Me 에서 제공하는 세번째 XSS 문제 (첫번째 문제 : https://hackingstudypad.tistory.com/48) (두번째 문제 : https://hackingstudypad.tistory.com/297) 지난 문제들 풀이를 보고오면 조금 더 이해하기 쉽다. 이번엔 Stored 가 아니라 Reflected XSS에 관한 문제인데, 둘의 차이는 공격 페이로드가 게시글, 댓글과 같은 형태로 DB에 저장되는지, URL 등을 통해 전달되어 DB에 저장되지 않는지를 보고 구분한다. 문제설명을 읽어보면 문제의 목표는 administrator 의 cookie 값을 훔치는 것이다. admin 은 보안에 굉장히 민감해서 수상한 링크는 클릭하지 않을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그럼 그냥 클릭하지 않아도..

워게임/Root Me 2022.11.25

[Root Me] XSS - Stored 2 - 웹해킹 / 크로스사이트스트립트

오랜만에 포스팅하는 Root Me 문제 이번엔 두번째 XSS 문제이다. (첫번째 문제 : https://hackingstudypad.tistory.com/48) 두번째 문제라 그런가 점수가 50점으로 확 올라갔다. 문제의 목표는 첫번째 문제와 동일하게 administrator 의 session cooike 를 훔치는 것이다. XSS 는 Cross Site Script 의 약자로 웹서버에 관리자가 아닌 사람이 악성 스크립트를 삽입할 수 있는 취약점이다. 보통 공격자들은 자신의 서버를 하나 열어놓은 뒤에, XSS 취약점을 이용하여 타겟 웹 서버에 악성 스크립트를 삽입한 뒤, 사용자들의 인증정보(쿠키값, 세션값 등)를 탈취하는데 이용한다. 문제 페이지에 접속하면 이런 간단한 게시판 형태가 보인다. 왼쪽에 ad..

워게임/Root Me 2022.10.19

[SHELLCTF] Choosy - 웹해킹 / XSS

SHELLCTF에 나온 첫번째 웹해킹 문제 XSS 와 관련된 문제이다. XSS 는 Cross Site Script 의 약자로 웹서버에 인가되지 않은 사람이 악성 스크립트를 삽입할 수 있는 취약점이다. 보통 공격자들은 자신의 서버를 하나 열어놓은 뒤에, XSS 취약점을 이용하여 타겟 웹 서버에 악성 스크립트를 삽입한 뒤, 사용자들의 인증정보(쿠키값, 세션값 등)를 탈취하는데 이용한다. 문제페이지에 접속하면 이런 화면이 나온다. GiXe me Some intresting Inuput Security is An Illusion 라고 간접적으로 이 문제가 XSS 취약점을 이용한 것이라는걸 알려주고 있다. 화면 가운데 뭔가 입력하고 제출할 수 있는 창이 보이는데 시험삼아 AAA라고 입력해봤더니 Your lower..

CTF/웹해킹 2022.09.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