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jinja2 3

[TMUCTF] Injection - 웹해킹 / SSTI

SSTI 와 관련된 웹해킹 문제 SSTI란 Server Side Template Injection의 약자로 템플릿 엔진으로 웹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경우, 공격자가 템플릿 구문을 악용하여 삽입할 수 있는 취약점이다. 이렇게 템플릿 구문이 삽입되게 되면, 원격 명령어 실행도 가능하게 되는 위험한 취약점이다. 소스코드는 주어지지 않고 문제 페이지 주소만 주어진다. 문제 페이지는 관리자에게 뭔가 리포트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름을 입력한 곳이 마지막에 Dear [이름], we have received your message 라고 나오는게 보였다. 이곳이 SSTI 백터라고 생각했다. 이 부분이 벡터가 맞는지 확인하는 방법은 아주 쉽다. 여기있는 페이로드를 한번씩 테스트 해보면 된다. 가장먼저 {{7*7}..

CTF/웹해킹 2023.07.09

[HackTheBox] Templated - 웹해킹 / SSTI

SSTI 와 관련된 웹해킹 문제 SSTI란 Server Side Template Injection의 약자로 템플릿 엔진으로 웹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경우, 공격자가 템플릿 구문을 악용하여 삽입할 수 있는 취약점이다. 이렇게 템플릿 구문이 삽입되게 되면, 원격 명령어 실행도 가능하게 되는 위험한 취약점이다. 문제 페이지에 접속하면 이런 화면이 나온다. 아직 완성되지 않은 웹 서버를 묘사해놓은것 같은데 Site still under construction 이라고 되어있고 아래쪽에 Proudly powered by Flask/Jinja2 라고 적혀있다. 이 부분이 아주 큰 힌트이다. 일단 공격 벡터를 찾기 위해 이것저것 시도해봤다. URL에 없는 경로를 입력할 경우 404 Error 페이지로 이동하게 되는데..

[Root Me] Python - Server-side Template Injection Introduction - 웹해킹 / SSTI

비교적 최근에 출제된 웹해킹(SSTI) 문제이다. SSTI란 Server Side Template Injection의 약자로 템플릿 엔진으로 웹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경우, 공격자가 템플릿 구문을 악용하여 삽입할 수 있는 취약점이다. 이렇게 템플릿 구문이 삽입되게 되면, 원격 명령어 실행도 가능하게 되는 위험한 취약점이다. 문제 페이지에 접속하면 이런 화면이 나온다. 사용자에게 title과 page content를 입력을 받고 있다. 시험삼아 test title / test content 라고 각각 입력을 한 뒤, Render your page! 버튼을 눌러줬다. 그러면 이렇게 내가 입력한 값이 까만 화면에 하얀 글씨로 출력이 된다. 이게 이 웹페이지 기능의 전부이다. SSTI 공격을 할때는 먼저 서버..

워게임/Root Me 2022.05.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