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rsactftool 6

[Space Heroes CTF] Rick Sanchez Algorithm - 암호학 / RsaCtfTool

제목부터 RSA 로 삼행시를 해놓은 RSA 관련 암호학 문제이다. RSA는 지금까지도 아주 많이 사용하는 공개키 알고리즘의 이름이다. 개발자인 Rivest, Shamir, Adleman 세명의 이름 앞글자를 따서 RSA 라고 이름을 붙혔다. 엄청나게 큰 숫자일수록 소인수분해가 어렵다는것에 착안해서 설계되었다. RSA의 원리는 아래와 같다. 1. 두 소수 p, q를 준비한다. 2. p-1, q-1과 각각 서로소(1외에는 공약수가 없는 수)인 정수 e를 준비한다. 3. ed를 (p-1)(q-1)으로 나눈 나머지가 1의 되도록 하는 d를 구한다.(d는 개인키로 공개하지 않는다) 4. n=pq를 계산한 후 n과 e를 공개한다.(이 둘이 공개키) 이 알고리즘을 이용해서 공개키-개인키 쌍을 만들고 공개키로 암호화했..

CTF/암호학 2023.05.09

[CTFlearn] Skynet Is (Almost) Taking Over - 암호학 / RsaCtfTool

CTFlearn 의 여든여덟번째 문제 4연속 Hard 난이도의 문제가 나와서 살짝 쫄았는데 이번 문제는 아주 쉽게 풀 수 있었다. 문제 설명이 아주 장황하다. 양자 컴퓨팅 어쩌고 하면서 나오는데 사실 이 의도를 잘 모르겠다. RSA 에 관련한 문제인데 RSA는 지금까지도 아주 많이 사용하는 공개키 알고리즘의 이름이다. 개발자인 Rivest, Shamir, Adleman 세명의 이름 앞글자를 따서 RSA 라고 이름을 붙혔다. 엄청나게 큰 숫자일수록 소인수분해가 어렵다는것에 착안해서 설계되었다. RSA의 원리는 아래와 같다. 1. 두 소수 p, q를 준비한다. 2. p-1, q-1과 각각 서로소(1외에는 공약수가 없는 수)인 정수 e를 준비한다. 3. ed를 (p-1)(q-1)으로 나눈 나머지가 1의 되도록..

워게임/CTFlearn 2023.04.20

[CTFlearn] CoppeRSA Lattice - 암호학 / RsaCtfTool

CTFlearn 의 여든한번째 문제 이번엔 Hard 난이도의 암호학 문제이다. 문제 제목에 나온것 처럼 RSA 암호 알고리즘과 관련되어있다. RSA는 지금까지도 아주 많이 사용하는 공개키 알고리즘의 이름이다. 개발자인 Rivest, Shamir, Adleman 세명의 이름 앞글자를 따서 RSA 라고 이름을 붙혔다. 엄청나게 큰 숫자일수록 소인수분해가 어렵다는것에 착안해서 설계되었다. RSA의 원리는 아래와 같다. 1. 두 소수 p, q를 준비한다. 2. p-1, q-1과 각각 서로소(1외에는 공약수가 없는 수)인 정수 e를 준비한다. 3. ed를 (p-1)(q-1)으로 나눈 나머지가 1의 되도록 하는 d를 구한다.(d는 개인키로 공개하지 않는다) 4. n=pq를 계산한 후 n과 e를 공개한다.(이 둘이 ..

워게임/CTFlearn 2023.03.28

[CTFlearn] RSA Twins! - 암호학 / RsaCtfTool

CTFlearn의 예순 일곱번째 문제 이번엔 암호학 카테고리의 RSA 문제이다. Hard 로 분류되어 있어서 살짝 쫄았는데 그렇게 어렵지 않게 풀 수 있다. 문제 제목에 나온것 처럼 RSA 암호 알고리즘과 관련되어있다. RSA는 지금까지도 아주 많이 사용하는 공개키 알고리즘의 이름이다. 개발자인 Rivest, Shamir, Adleman 세명의 이름 앞글자를 따서 RSA 라고 이름을 붙혔다. 엄청나게 큰 숫자일수록 소인수분해가 어렵다는것에 착안해서 설계되었다. RSA의 원리는 아래와 같다. 1. 두 소수 p, q를 준비한다. 2. p-1, q-1과 각각 서로소(1외에는 공약수가 없는 수)인 정수 e를 준비한다. 3. ed를 (p-1)(q-1)으로 나눈 나머지가 1의 되도록 하는 d를 구한다.(d는 개인키..

워게임/CTFlearn 2023.02.12

[2020CCE] Easy RSA - 암호학 / RsaCtfTool / Python

2020년에 진행되었던 국정원 주최 사이버공격방어대회 묵혀놨던 Write Up을 이제야 포스팅 해 본다. 이번에 풀이할 문제는 Easy RSA 문제이다. 문제 제목에 나온것 처럼 RSA 암호 알고리즘과 관련되어있다. RSA는 지금까지도 아주 많이 사용하는 공개키 알고리즘의 이름이다. 개발자인 Rivest, Shamir, Adleman 세명의 이름 앞글자를 따서 RSA 라고 이름을 붙혔다. 엄청나게 큰 숫자일수록 소인수분해가 어렵다는것에 착안해서 설계되었다. RSA의 원리는 아래와 같다. 1. 두 소수 p, q를 준비한다. 2. p-1, q-1과 각각 서로소(1외에는 공약수가 없는 수)인 정수 e를 준비한다. 3. ed를 (p-1)(q-1)으로 나눈 나머지가 1의 되도록 하는 d를 구한다.(d는 개인키로 ..

CTF/암호학 2022.11.06

[UMDCTF] Low Effort Required - 암호학 / RSA

RSA와 관련된 암호학 문제였다. 사우스 보스턴에 있는 어느 레스토랑에서 public key와 ciphertext를 발견했는데 해독할 수 있냐고 물어본다. 문제파일로 ciphertext, public_key 그리고 encrypt.py 파일이 주어진다. 40030182544273856015788999062464973403472186630147528555052489762516210821795493031619376345647069575950526306492922573846162431037037824967074058132327917359025595463728944947118480605422897682821384491771926743103021286982319660969379132360886299787840185..

CTF/암호학 2022.05.0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