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워게임 270

[CTFlearn] Binwalk - 포렌식 / HxD

CTFlearn의 열한번째 문제 이전 문제가 Medium 이라서 계속 중간 난이도 문제가 나올 줄 알았는데 다시 Easy로 돌아왔다. 문제설명을 읽어보면 주어지는 파일 안에 다른 파일이 숨겨져 있는데, 그걸 추출할 수 있냐고 물어본다. 아래쪽에 적혀있는 URL로 접근해보면 PurpleThing.jpeg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이게 주어진 사진이다. 문제에서 의도하는 방식으로 풀면 너무 쉽게 끝나서 다른 방법으로 먼저 풀어보려고 한다. 주어진 파일을 HxD 도구를 이용해 열어본다. 파일이 89 50 4E 47 으로 시작하는것을 알 수 있다. 89 50 4E 47로 시작하는것은 PNG 파일의 특징이다. 확장자는 jpeg 였는데 사실은 PNG 파일이었다. 이런걸 파일 시그니처 라고 한다. 또한 PNG..

워게임/CTFlearn 2022.08.11

[Root Me] Command injection - Filter bypass - 웹해킹 / RequestBin

예전에 풀었던 Command injection 문제의 업그레이드 버전이다. (https://hackingstudypad.tistory.com/74) 이전 문제 풀이를 읽어보면 이해하는데 조금 더 도움이 될것같다. 10점에서 30점으로 점수가 팍 오른 두번째 문제 그만큼 생각을 좀 해야한다. 문제의 목표는 웹페이지의 취약점을 찾아 exploit 하는것이다. 플래그는 index.php 파일안에서 찾을 수 있다고 한다. 문제페이지에 들어가면 입력창이 하나 있고, 제출 버튼이 나온다. 입력창에는 기본으로 127.0.0.1이 들어가 있다. 일단 먼저 제출버튼을 눌러본다. 제출을 누르면 Ping OK 라는 문구가 출력된다. 이전 문제는 ping 127.0.0.1 -c 3 명령어의 실행 결과가 그대로 출력됐는데, 이..

워게임/Root Me 2022.08.09

[CTFlearn] POST Practice - 웹해킹 / Burp Suite

CTFlearn의 열번째 문제 이번엔 웹해킹 문제이다. 처음으로 나온 Medium 난이도의 문제인데 그렇게 어려운 문제는 아니다. 문제 설명을 읽어보면 웹사이트는 POST를 사용해 인증을 하는데, 어떤 사람이 사이트를 디페이스(변조) 했다고 한다. 그 상태에서 인증을 할 수 있겠냐고 물어본다. 주어진 문제페이지 주소로 접근하면 이렇게 하얀 바탕에 글씨만 나온다. POST data가 제출되지 않았다는 문구이다. 문제에서 계속 언급되는 POST는 웹 서버에 클라이언트가 요청 패킷을 보낼때, 데이터를 함께 전송하기 위한 메서드이다. 네이버에 접속을 한다고 가정하면, 단순히 네이버 메인 페이지에 접속하는것은 GET 메서드를 이용해서 서버에 요청을 하고, 로그인을 하거나 댓글을 쓰는등 클라이언트의 데이터를 서버에..

워게임/CTFlearn 2022.08.08

[Root Me] Twitter authentication - 포렌식 / Wireshark

Root Me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패킷 포렌식 네번째 문제 이번 문제는 Twitter 인증정보와 관련이 있다. 물론 문제를 위해 일부러 취약하게 만들어 놓은거지 실제 트위터가 이렇게 취약하진 않다. 문제의 목표는 캡쳐된 트위터 인증 세션에서 유저의 비밀번호를 찾아내는 것이다. 문제에서 주어지는것은 ch3.pcap 파일이다. pcap 파일은 와이어샤크 라는 도구를 이용해서 열어볼 수 있다. (설치링크 : https://www.wireshark.org/download.html) Wireshark 도구를 이용해 ch3.pcap를 열어보면 패킷이 딱 하나 있다. 네트워크 패킷 포렌식 문제를 풀면서 이렇게 친절한 문제는 처음봤다... 감동.. (보통은 수천 수만개 패킷 사이에서 의심되는 패킷을 찾는 방식이다.)..

워게임/Root Me 2022.08.06

[CTFlearn] Reverse Polarity - 암호학 / Binary

CTFlearn의 9번째 문제 이번 문제는 암호학 문제이다. 아직까지는 만 사천명이나 푼 쉬운 문제다. 분류가 암호학으로 되어있긴 한데 사실 이 문제는 암호 보다는 인코딩과 관련된 문제이다. 암호와 인코딩 둘다 원래 데이터를 다른 데이터로 바꾸지만, 암호에는 Key 값이 사용된다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는 Key가 필요없으니 그냥 인코딩-디코딩 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01000011010101000100011001111011010000100110100101110100010111110100011001101100011010010111000001110000011010010110111001111101 간단하게 문제에서 주어진 이 문자열을 디코딩 하면 된다. 0과 1로 이루어진 긴 문자열인데 이건 바이너리 코드로 ..

워게임/CTFlearn 2022.08.05

[Root Me] ETHERNET - frame - 포렌식 / HxD

Root Me의 세번째 네트워크 포렌식 문제 처음 문제를 딱 보고 나서 조금 생소할수도 있겠다고 느꼈는데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풀었다. 문제의 목표는 confidential data 를 찾는것이다. 문제 파일로 주어지는건 ch12.txt 파일이다. ch12.txt 파일의 내용을 보면 위처럼 16진수 숫자들이 적혀있는것을 볼 수 있다. 일단 저렇게 써있으면 알아볼 수가 없으니 가독성을 위해 ASCII 값으로 바꿔보았다. 디코딩하는데는 HxD 라는 도구를 이용했다. ch12.txt 파일의 값을 복사한 뒤 HxD에 그대로 붙여넣기 하면 오른쪽에 디코딩된 텍스트가 나오게 된다. GET 메소드를 사용해 웹에 접속한 흔적이 보이는데 중간에 Authorization: Basic Y29uZmk6ZGVudGlhbA==..

워게임/Root Me 2022.08.02

[CTFlearn] Wikipedia - OSINT

위키피디아와 관련된 OSINT 문제 OSINT는 Open Source Intelligence 의 약자로 공개출처정보라는 뜻이다. 말 그대로 공개된 출처에서 얻은 정보들을 의미한다. 해킹대회에서는 구글이나 네이버 검색처럼 누구나 쉽게 접근해서 얻을수 있는 정보들을 이용해서 의미있는 새로은 정보를 만들어내거나 알아내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번에 문제에서 주어진 정보는 딱 두개다. Wikipedia 그리고 128.125.52.138 위키피디아는 우리가 흔이 하는 그 위키피디아가 맞고, 뒤에 있는 숫자는 뭔가 ip 주소처럼 보인다. 일단 IP주소의 정보를 알아보기 위해서 128.125.52.138 을 IP 주소 검색 사이트에 검색해봤다. (https://ko.ipshu.com/ipv4/128.125.52.138..

워게임/CTFlearn 2022.08.01

[Root Me] TELNET - authentication - 포렌식 / Wireshark

root me의 두번째 네트워크 패킷 포렌식 문제 이번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telnet이다. 이번문제도 비슷하게 텔넷 패킷 안에서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알아내면 된다. 문제에서 제공되는 파일은 ch2.pcap 파일이다. pcap 파일은 와이어샤크 라는 도구를 이용해서 열어볼 수 있다. (설치링크 : https://www.wireshark.org/download.html) ch2.pcap 파일을 열어보면 위처럼 TELNET 프로토콜을 이용해 데이터를 전송한 흔적을 찾을 수 있다. 텔넷은 TCP/IP 에서 응용계층 프로토콜 중 하나로 원격지의 컴퓨터에 접속할때 주로 사용한다. 텔넷이 1969년 처음 개발되었는데, 이때는 보안에 대한 고려가 전혀 없었기때문에 아주 많은 취약점이 존재한다. TELNET 패킷 중..

워게임/Root Me 2022.07.30

[Root Me] FTP - authentication - 포렌식 / Wireshark

root me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패킷 포렌식 첫번째 문제 풀이수가 77,790이나 된다. 아마 root me에서 풀이수가 제일 많은 문제이지 않을까 싶다. 문제는 FTP 프로토콜을 이용한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알아내는것이 목표이다. 문제에서 제공되는 파일은 ch1.pcap 파일이다. pcap 파일은 와이어샤크 라는 도구를 이용해서 열어볼 수 있다. (설치링크 : https://www.wireshark.org/download.html) ch1.pcap 파일을 열어보면 위처럼 FTP 프로토콜을 이용해 데이터를 전송한 흔적을 찾을 수 있다. FTP는 File Transfer Protocol 의 약자로 TCP/IP 프로토콜을 이용해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규약이다. 만들어질때 보안을 ..

워게임/Root Me 2022.07.29

[CTFlearn] Morse Code - 암호학 / 모스부호

모스 부호와 관련된 Cryptography 카테고리 문제 문제 제목부터 너무 정직해서 딱히 풀이할 만한 내용이 없다. 문제 아래있는 댓글창에서 보이는 5h4s0w좌의 일침.. 암호학 문제에서 encryption type을 제목에 쓰지 말아달라고 한다. 아주 공감되는 말이다. 상당히 많은 사람들이 이 댓글에 공감을 눌렀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풀이가 짧아서 앞에 서두가 길었다. 위에 있는게 주어진 모스부호이다. 여기있는 모스부호 표를 보고 하나씩 매칭해서 찾으면 된다...

워게임/CTFlearn 2022.07.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