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CTF 362

[2021 화이트햇 콘테스트] C-3 - 포렌식 / WinPrefetchView

2021 화이트햇 콘테스트 예선전에 나왔던 문제 시간이 꽤 지났지만 하나씩 문제풀이를 올려본다. CTFD 플랫폼을 이용해 진행이 되었는데, 문제는 캡쳐를 못해서 써놨던 내용을 복기해서 작성하는 Write up이다. 거의 대부분의 문제는 S1_Docs_Malware.vmx 파일로 진행된다. 해당 파일은 침해사고가 발생한 Windows10 시스템을 이미징한 것이다. C-3 문제는 이전 C-2에서 계속 이어지는 문제이다. (https://hackingstudypad.tistory.com/577) 지난번 문제에선 hwp 파일의 postscript 를 분석해 \\Miscosoft\\Windows\\Start Menu\\Programs\\StartUp 에 IIsExt.vbs 파일이 생성된다는 것을 알았고, 파일 속..

CTF/포렌식 2023.07.25

[2021 화이트햇 콘테스트] C-2 - 포렌식

2021 화이트햇 콘테스트 예선전에 나왔던 문제 시간이 꽤 지났지만 하나씩 문제풀이를 올려본다. CTFD 플랫폼을 이용해 진행이 되었는데, 문제는 캡쳐를 못해서 써놨던 내용을 복기해서 작성하는 Write up이다. 거의 대부분의 문제는 S1_Docs_Malware.vmx 파일로 진행된다. 해당 파일은 침해사고가 발생한 Windows10 시스템을 이미징한 것이다. C-2 문제는 역시나 이전 C-1에서 계속 이어지는 문제이다. (https://hackingstudypad.tistory.com/576) C-2 드랍퍼가 자동 실행 악성코드를 파일 시스템에 최초로 생성한 시각은 언제인가? C-2 문제는 자동실행 악성코드가 최초로 생성된 시각을 물어본다. 지난번 C-1 문제에서 PostScript 를 분석해 자동 ..

CTF/포렌식 2023.07.23

[2021 화이트햇 콘테스트] C-1 - 포렌식

2021 화이트햇 콘테스트 예선전에 나왔던 문제 시간이 꽤 지났지만 하나씩 문제풀이를 올려본다. CTFD 플랫폼을 이용해 진행이 되었는데, 문제는 캡쳐를 못해서 써놨던 내용을 복기해서 작성하는 Write up이다. 거의 대부분의 문제는 S1_Docs_Malware.vmx 파일로 진행된다. 해당 파일은 침해사고가 발생한 Windows10 시스템을 이미징한 것이다. C-1 문제는 역시나 이전 B-1에서 계속 이어지는 문제이다. (https://hackingstudypad.tistory.com/569) B-1 문제에서는 A-3에서 발견한 3분기-취약점-조치권고.hwp 파일을 분석했었다. C-1 드랍퍼가 생성한 자동실행 악성코드의 파일명은 무엇인가? C-1은 드랍퍼가 생성한 자동실행 악성코드의 파일명을 찾는것이..

CTF/포렌식 2023.07.21

[2021 화이트햇 콘테스트] B-2 - 포렌식 / Sysmon View

2021 화이트햇 콘테스트 예선전에 나왔던 문제 시간이 꽤 지났지만 하나씩 문제풀이를 올려본다. CTFD 플랫폼을 이용해 진행이 되었는데, 문제는 캡쳐를 못해서 써놨던 내용을 복기해서 작성하는 Write up이다. 거의 대부분의 문제는 S1_Docs_Malware.vmx 파일로 진행된다. 해당 파일은 침해사고가 발생한 Windows10 시스템을 이미징한 것이다. B-2 문제는 이전 B-1에서 계속 이어지는 문제이다. (https://hackingstudypad.tistory.com/569) B-1 문제에서는 A-3에서 발견한 3분기-취약점-조치권고.hwp 파일을 분석했었다. B-2 드랍퍼가 취약점을 최초 발현한 시각과 취약점의 원인이 되는 바이너리의 파일명은 무엇인가? B-1 문제에서 hwp 내에 있는 ..

CTF/포렌식 2023.07.19

[2021 화이트햇 콘테스트] B-1 - 포렌식 / SSView

2021 화이트햇 콘테스트 예선전에 나왔던 문제 시간이 꽤 지났지만 하나씩 문제풀이를 올려본다. CTFD 플랫폼을 이용해 진행이 되었는데, 문제는 캡쳐를 못해서 써놨던 내용을 복기해서 작성하는 Write up이다. 거의 대부분의 문제는 S1_Docs_Malware.vmx 파일로 진행된다. 해당 파일은 침해사고가 발생한 Windows10 시스템을 이미징한 것이다. B-1 문제는 이전 A-3에서 계속 이어지는 문제이다. (https://hackingstudypad.tistory.com/567) download.html 으로 접근하면 3분기-취약점-조치권고.hwp 파일이 자동으로 다운로드 되는것을 확인했었다. 이렇게 실제 파일이 떨어지게 된다. 이게 문제에서 의미하는 드랍퍼 인듯 하다. B-1 드랍퍼에서 획득..

CTF/포렌식 2023.07.17

[2021 화이트햇 콘테스트] A-3 - 포렌식 / Wireshark

2021 화이트햇 콘테스트 예선전에 나왔던 문제 시간이 꽤 지났지만 하나씩 문제풀이를 올려본다. CTFD 플랫폼을 이용해 진행이 되었는데, 문제는 캡쳐를 못해서 써놨던 내용을 복기해서 작성하는 Write up이다. 거의 대부분의 문제는 S1_Docs_Malware.vmx 파일로 진행된다. 해당 파일은 침해사고가 발생한 Windows10 시스템을 이미징한 것이다. A-3 문제는 이전 A-2에서 계속 이어지는 문제이다. (https://hackingstudypad.tistory.com/565) A-2 에서 드랍퍼가 위치한 서버의 IP를 Outlook을 통해 확인했었다. A-3 이메일을 분석하여 플래그를 획득하여라 A-3 문제는 해당 이메일을 분석해서 플래그를 획득하는 것이었다. 일단 이메일에 링크된 주소로 ..

CTF/포렌식 2023.07.15

[2021 화이트햇 콘테스트] A-2 - 포렌식 / Outlook

2021 화이트햇 콘테스트 예선전에 나왔던 문제 시간이 꽤 지났지만 하나씩 문제풀이를 올려본다. CTFD 플랫폼을 이용해 진행이 되었는데, 문제는 캡쳐를 못해서 써놨던 내용을 복기해서 작성하는 Write up이다. 거의 대부분의 문제는 S1_Docs_Malware.vmx 파일로 진행된다. 해당 파일은 침해사고가 발생한 Windows10 시스템을 이미징한 것이다. A-2 드랍퍼가 위치한 서버의 아이피는 무엇인가? 첫번째 문제의 풀이를 보고 오면 이해가 빠르다. (https://hackingstudypad.tistory.com/563) 두번째 문제는 드랍퍼가 위치한 서버의 아이피를 묻는다. 첫번째 문제에서 공격자에게 이메일을 받은 시간을 물었고, 그에 따라 Outlook을 실행시켜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

CTF/포렌식 2023.07.13

[2021 화이트햇 콘테스트] A-1 - 포렌식 / Outlook

2021 화이트햇 콘테스트 예선전에 나왔던 문제 시간이 꽤 지났지만 하나씩 문제풀이를 올려본다. CTFD 플랫폼을 이용해 진행이 되었는데, 문제는 캡쳐를 못해서 써놨던 내용을 복기해서 작성하는 Write up이다. 거의 대부분의 문제는 S1_Docs_Malware.vmx 파일로 진행된다. 해당 파일은 침해사고가 발생한 Windows10 시스템을 이미징한 것이다. A-1 공격자에게 이메일을 받은 시각은 언제인가? 가장 첫번째 문제는 공격자에게 이메일을 받은 시각을 묻는 문제였다. VMWare 를 이용해 이미지 파일을 실행시키면 이런 화면이 나온다. 바탕화면에 뭔가 알수없는 파일들이 들어있는데 확장자가 .rabbit 인걸로 보아 랜섬웨어에 감염당한 Windows10 시스템인듯 하다. 첫번째 문제가 이메일에 ..

CTF/포렌식 2023.07.11

[TMUCTF] Injection - 웹해킹 / SSTI

SSTI 와 관련된 웹해킹 문제 SSTI란 Server Side Template Injection의 약자로 템플릿 엔진으로 웹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경우, 공격자가 템플릿 구문을 악용하여 삽입할 수 있는 취약점이다. 이렇게 템플릿 구문이 삽입되게 되면, 원격 명령어 실행도 가능하게 되는 위험한 취약점이다. 소스코드는 주어지지 않고 문제 페이지 주소만 주어진다. 문제 페이지는 관리자에게 뭔가 리포트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름을 입력한 곳이 마지막에 Dear [이름], we have received your message 라고 나오는게 보였다. 이곳이 SSTI 백터라고 생각했다. 이 부분이 벡터가 맞는지 확인하는 방법은 아주 쉽다. 여기있는 페이로드를 한번씩 테스트 해보면 된다. 가장먼저 {{7*7}..

CTF/웹해킹 2023.07.09

[TMUCTF] Login - 웹해킹 / PHP

PHP Magic Hash 취약점을 이용한 웹해킹 문제 난이도는 그렇게 어렵지 않다. 별다른 소스파일은 주어지지 않고 문제 페이지 주소만 주어진다. 문제페이지는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되는 페이지이다. 소스도 없고 힌트도 없어서 뭐 어떻게 해야하나 싶었는데 URL에 robots.txt 를 입력해봤더니 힌트를 찾을 수 있었다. GET 메소드로 password 파라미터에 값을 전달받는데, 내가 입력한 password 값과 password 값을 md5 해시한 값이 같으면 플래그가 출력된다. 근데 상식적으로 해시값이랑 원래값이 같을 수가 없다. 하지만 PHP Magic Hash 취약점을 이용하면 가능하다. 구글에 검색하면 해당 값을 바로 찾을 수 있다. : 를 구분자로 앞쪽이 입력값, 뒤쪽이 md5 해시값인데 위처..

CTF/웹해킹 2023.07.0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