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이버 424

[Root Me] JSON Web Token - Introduction - 웹해킹 / JWT

JWT와 관련된 20점짜리 웹해킹 문제 JWT는 JSON Web Token 의 약자로 선택적 서명 및 선택적 암호화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만들기 위한 표준을 말한다. 웹에서 사용자 인증을 할때 사용한다. 이번 문제의 목표는 admin 권한으로 접근하는 것이다. 문제페이지에 접근하면 이렇게 로그인 창이 뜬다. 일단 기능을 좀 살펴보기 위해 아래쪽에 있는 Login as Guest! 버튼을 눌러 Guest 계정으로 로그인을 해보았다. 로그인을 하면 이렇게 Welcome guest to this website! :) 라는 문구가 뜬다. 문제페이지의 쿠키값을 확인해봤다. jwt 라는 이름의 쿠키에 base64로 인코딩된 값이 들어있는게 보인다. eyJ0eXAiOiJKV1QiLCJhbGciOiJIUzI1NiJ9.e..

워게임/Root Me 2022.07.06

[HeroCTF] SmallMistakeBigMistake - 웹해킹 / 쿠키변조 / Flask

간단한 웹해킹 문제 이전에도 비슷한 문제를 다룬적이 있었다. (https://hackingstudypad.tistory.com/95) 문제 설명을 읽어보면 웹 개발자들이 코드에서 작은 실수를 했는데 혹시 그걸 찾아서 exploit을 해 플래그를 획득할 수 있는지 물어본다. 문제페이지 주소와 함께, 웹 소스코드도 같이 주어진다. 먼저 문제페이지에 접속했을때 화면이다. 다짜고짜 You are not admin! 이라는 문구가 출력된다. 대체 왜 이런 문구가 출력되는지 소스를 확인해본다. #!/usr/bin/env python from flask import Flask, session, render_template from string import hexdigits from random import choic..

CTF/웹해킹 2022.07.05

[HeroCTF] HeroGuesser#1 - OSINT / Google Map

OSINT 문제 OSINT는 Open Source Intelligence 의 약자로 공개출처정보라는 뜻이다. 말 그대로 공개된 출처에서 얻은 정보들을 의미한다. 해킹대회에서는 구글이나 네이버 검색처럼 누구나 쉽게 접근해서 얻을수 있는 정보들을 이용해서 의미있는 새로은 정보를 만들어내거나 알아내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매번 풀때마다 느끼는건데 OSINT 문제는 진짜 어려운것 같다. 잘 푸는 사람들 보면 그저 경이로울 따름이다... 문제 설명을 읽어보면 프랑스 남부에 있는 어떤 공원에서 게임을 했던 기억이 난다면서 혹시 어딘지 찾을 수 있겠냐고 물어본다. 그러면서 어떤 웹 페이지 주소가 제공되는데 해당 주소로 접근해보면 이런 사이트가 나온다. 구글 맵처럼 어떤 공원의 로드뷰를 보여주고있는 사이트이다. 이 정보..

CTF/MISC 2022.07.03

[CTFlearn] Basic Injection - 웹해킹 / SQL Injection

그동안 포스팅 하면서 워게임은 너무 Root Me 문제만 풀이한것 같아 새로운 워게임을 하나 찾아보았다. CTFlearn(https://ctflearn.com/) 이라는 사이트이고 해킹대회 연습용 문제들이 많이 올라와있다. 첫번째 문제는 웹해킹 문제이다. 39779 명이나 문제를 푼 걸 보면 엄청나게 쉬운 문제이듯 한다. 문제소스는 따로 주어지지 않고, 문제 페이지 주소만 주어진다. link 버튼을 눌러 접속할 수 있다. 문제 페이지에 접속하면 이런 화면이 나온다. Input : 밑에 사용자가 입력할수 있는 폼이 하나 있고, 아래쪽에는 사용자의 입력값을 받아 데이터베이스로 전달하는 SQL 구문이 그대로 출력되어 보인다. 예를들어 Input 에 HELLO 라고 입력하면 아래쪽 SQL 구문에 SELECT *..

워게임/CTFlearn 2022.07.02

[SANS SIFT Workstation] 최신버전 다운로드 및 설치방법

SANS SIFT Workstation 최신버전 다운로드 및 설치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SIFT는 Sans Investigative Forensics Toolkit 의 약자로 Ubuntu 환경에 디지털포렌식 및 사고대응을 위한 각종 도구들이 내장되어있는 리눅스이다. 무료 오픈소스로 제공되고 업데이트도 자주 되는 편이다. 실제 디지털포렌식을 하거나 CTF 대회에서 포렌식 문제를 풀때 필요한 도구들을 여기저기저 찾아서 설치하는것보다 이거 하나 설치해서 쓰면 편하기 때문에 자주 사용한다. 구글에 sitf download 라고 검색하면 바로 공식 홈페이지가 뜬다. 해당 링크로 들어가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오른쪽 중간에 download 버튼을 눌러서 다운로드 할 수 있는데 먼저 회원가입을 해야한다. 오른..

[Root Me] ELF C++ - 0 protection - 리버싱 / IDA / GDB

C++ 리버싱 문제 C++ 리버싱은 처음 해본거 같은데 생각보다 어려워서 놀랐다. C 랑 큰 차이 없지 않을까 생각하고 시작했다가 큰코다쳤다.. 문제의 목표는 올바른 password를 찾는것이다. 문제파일로 주어지는 것은 ch25.bin 파일이다. 먼저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보았다. 터미널에서 ./ch25.bin 이라고 입력하면 실행이 되는데 그냥 실행시켰더니 usage : ./ch25.bin password 라면서 사용법이 출력된다. ./ch25.bin hello 라고 password를 인자로 넣어서 실행시켜 주니 비밀번호가 틀렸다는 안내 문구가 출력된다. IDA 라는 디스어셈블러를 이용해서 ch25.bin 파일을 열어보았다. c로 만들어진 프로그램이라면 오른쪽에 깔끔하게 어셈블리어가 잘 보이는데 c++..

워게임/Root Me 2022.06.30

[HouseplantCTF] I only see in cubes - MISC / binwalk / Minecraft

오랜만에 쓰는 MISC 문제 write up MISC는 miscellaneous의 약자로 여러가지 잡다한 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사실 이 문제는 어떻게 보면 포렌식쪽이랑 관련이 있지 않을까 싶기도 하다. 문제 설명을 읽어보면 Jubie 라는 사람이 여행을하다가 책을 잃어버렸다고 한다. 책에는 중요한 작업들이 많이 들어있어서 꼭 찾아야 한다고 한다. 이 문제에서는 힌트도 제공되는데, 힌트를 읽어보면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마인크래프트가 필요 없다. 라고 적혀있다. 아무래도 마인크래프트와 관련된 문제인듯 하다. 문제파일로는 I only see in cubes rezip.7z 파일이 주어진다. .7z 확장자는 zip 파일같은 압축 파일의 확장자이다. zip 파일 압축풀듯이 그냥 압축을 풀 수 있다. 문제파..

CTF/MISC 2022.06.29

[Root Me] Flash - Authentication - 웹해킹 / FFDEC

이제는 고인이 되어버린 Flash 관련된 문제 Flash가 아직 서비스 중일때는 쉽게 풀 수 있는 문제였을거 같은데 Flash가 안되는 상황에서 풀려니 조금 난이도가 있었다. 문제의 목표는 validation code를 찾는것이다. 문제페이지에 접속하면 이런 화면이 나온다. 원래는 웹페이지 안에 플래시가 삽입되어서 보여지는듯 했으나 플래시 지원이 종료되면서 흔적만 남은 모습이다.. Flash는 보안 취약점으로 인한 악성코드 유포 도구로 사용되어서 2020년 12월 31일 부로 지원이 종료되었다. 해당 페이지에서 f12를 눌러 개발자도구를 실행시켜 본다. 요소 탭을 확인해보면 중간에 태그가 있다. 태그 안의 내용을 보면, value 값이 dbbcd6ee441aa6d2889e6e3cae6adebe 와 다르면..

워게임/Root Me 2022.06.28

[HouseplantCTF] Deep Lyrics - 포렌식 / 스테가노그래피 / DeepSound

음악파일 스테가노그래피 문제 기존에 포스팅했던 음악 파일 스테가노그래피 문제들은 Audacity 라는 도구를 이용해서 풀었는데 (https://hackingstudypad.tistory.com/6, https://hackingstudypad.tistory.com/178) 이 문제는 조금 다르다. 문제파일로는 more music.wav 파일이 주어진다. wav 파일이 주어졌길래 가장 먼저 Audacity 도구에 넣어봤는데 파형이나 스펙토그램을 확인해봐도 별다른 특이사항이 없었다. 한참동안 해메다가 답을 찾았는데, 문제 제목에 힌트가 있었다. Deep 이라는 단어를 주목해서 검색을 하다보니 DeepSound 라는 도구를 발견했다. 역시 스테가노그래피 문제는 툴 싸움인거 같다.. DeepSound 도구는 wa..

CTF/포렌식 2022.06.27

[HouseplantCTF] Pie generator - 웹해킹 / 패킷변조

이 문제는 대회 당시 pwn(포너블)로 분류가 되어 있었는데. 아무리 생각해도 포너블 보다는 웹 분야의 문제가 맞는거 같아서 웹해킹으로 분류하였다. 따로 소스코드가 제공되지는 않고, 문제 페이지 주소만 제공이 된다. 문제페이지에 접속하면 이런 화면이 나온다. Feel free to guess my next number :3 라는 문구와 함께 숫자를 입력할 수 있는 칸이 나온다. 시험삼아서 12를 입력해봤는데 자기들 숫자는 90 이었다면서 틀렸다고 안내한다. 이렇게 매번 실행할때마다 맞춰야 하는 숫자가 달라진다. f12를 눌러서 개발자 도구를 확인해보면 스크립트를 확인할 수 있다. document.getElementById("ts").value=(Date.now() / 1000000); 이렇게 적혀있는데 ..

CTF/웹해킹 2022.06.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