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정보보호 653

[Space Heroes CTF] R2D2 - 웹해킹 / robots.txt

이번 대회의 웹해킹 문제들은 다 쉬웠던거 같다. 두번째 웹해킹 문제 역시 별다른 소스코드 없이 문제페이지 주소만 제공이 된다. 이런 쉬운문제는 제목에서 부터 벌써 느낌이 온다. 웹해킹 카테고리에 있는 문제의 제목이 RD2D다? 바로 robots.txt와 관련된 문제임을 직감해야한다. 문제페이지에 들어가면 달랑 이 사진하나만 나온다. 스타워즈를 본 사람들은 알겠지만 오른쪽에 있는 조그만 로봇의 이름이 R2D2이다. R2D2 -> 스타워즈 나오는 로봇 -> 웹해킹 문제에 로봇 -> robots.txt 이런식으로 생각하면된다. 블로그를 운영하는 사람이라면 robots.txt가 익숙할 것이다.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에 있는 바로 그 robots.txt이다. robots.txt는 로봇 배제 표준이라고 해서 웹 사이..

CTF/웹해킹 2022.04.07

[Space Heroes CTF] Space Traveler - 웹해킹 / 자바스크립트

아주 쉬운 웹해킹 문제이다. 따로 소스코드 없이 문제페이지 주소만 주어진다. 문제 페이지에 접속하면 텍스트가 쭉 나오고 마지막에 Guess The Flag 라는 버튼이 보이게 된다. 해당 버튼을 클릭하면 이렇게 알림창이 하나 뜬다. 입력창에 정확한 플래그를 입력해야 문제가 풀리는 듯 하다. 놀랍게도 이전에 블로그에서 거의 똑같이 풀 수 있는 문제를 다룬적이 있었다. (https://hackingstudypad.tistory.com/44) 다시한번 느낀거지만 워게임 사이트를 많이 풀다보면 머릿속에 빅데이터가 쌓여서 실제 대회에서도 많은 도움이 되는것 같다. 문제페이지에서 f12를 눌러서 개발자도구를 이용해 웹 소스를 확인해본다. 맨 밑에쪽에 보면 태그 사이에 뭔가 알수없는 복잡한 값들이 있는걸 확인할 수 ..

CTF/웹해킹 2022.04.06

[Space Heroes CTF] Netfilx and CTF - 포렌식 / Wireshark / Tshark

두번째 네트워크 포렌식 문제이다. 제목에 Netfilx가 들어가는데, 넷플릭스랑 무슨 상관이 있는지는 잘 모르겠다. netflix-and-ctf.pcap 라는 이름의 패킷파일이 주어진다. Wireshark로 pcap 파일을 열어볼 수 있다. 첫번째 문제와 다르게 이번 패킷파일은 패킷 수가 2802개로 조금 많다. 어쩔수 없이 코딩을 해야할 듯 하다. 패킷파일은 10.10.100.139와 10.10.100.124 간에 오고가는 웹 패킷을 보여준다. POST 메소드를 이용해서 /search/browse 페이지와 /keypress/Lit_* 페이지를 요청한다. keypress 요청 부분을 자세히 보면 Lit_T, Lit_r, Lit_e 이런식으로 맨 끝에있는 문자가 계속 바뀌는데, 아마도 이건 키보드에서 T,..

CTF/포렌식 2022.04.06

[Space Heroes CTF] Star Pcap - 포렌식 / Wireshark

지난 주말간 있었던 Space Heroes CTF 대회이다. 우주 컨셉으로 구성된 재미있는 대회였다. Star Pcap는 가장 쉬웠던 포렌식 문제이다. star.pcap 라는 이름의 패킷파일이 하나 주어진다. Wireshark로 pcap 파일을 열어볼 수 있다. 열어보면 패킷 양은 52개로 그렇게 많지 않다. 162.248.71.9에서 151.101.5.188 ICMP 패킷(ping)을 계속 날리고있는걸 확인할 수 있다. 패킷을 천천히 살펴보다가 수상한 부분을 발견했다. 패킷의 거의 마지막 부분을 보면 현재 파란색으로 블록잡혀있는 부분(63)만 다른값으로 변하는걸 확인할 수 있다. 예를들어 지금 보고있는 1번패킷은 해당부분의 값이 63이지만 2번 패킷을 보면 나머지 부분은 다 똑같은데 해당 부분만 32로..

CTF/포렌식 2022.04.06

[Root Me] PHP - Command injection - 웹해킹 / 명령어삽입

10점짜리 웹해킹 문제이다. 문제 제목으로 유추해 보건데, PHP로 만들어진 웹페이지인것 같다. 문제 설명을 읽어보면 이 서비스의 취약점을 찾아서 exploit을 하라고 한다. 플래그는 index.php 파일안에서 찾을 수 있다고 적혀있다. 문제페이지에 들어가면 입력창이 하나있고, 제출 버튼이 나온다. 입력창에는 기본으로 127.0.0.1이 들어가 있다. 일단 제출버튼을 눌러본다. 127.0.0.1을 입력하고 제출을 누르면 ping 명령어 수행결과가 출력된다. 웹 페이지를 통해서 운영체제 명령어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가져와서 보여주는 서비스인듯 하다. 참고로 실제 리눅스 환경에서 ping 명령어를 실행시키면 이렇게 뜬다. 출력 내용을 보면 완전 똑같은것을 볼 수 있다. 문제는 이렇게 웹서비스를 통해서 ..

워게임/Root Me 2022.04.05

[AUCTF] Animal Crossing - 포렌식 / Wireshark / Tshark

네트워크 패킷 포렌식 문제이다. animalcrossing.pcapng 라는 이름의 패킷파일이 주어진다. 참고로 animalcrossing 은 동물의 숲의 영문판 이름이다. 이 대회당시에 동물의 숲이 엄청나게 유행이었는데, 문제랑은 무슨 관련이 있는진 잘 모르겠다. Wireshark를 이용해서 해당 패킷 파일을 열어보면 26번째 패킷부터 수상한 데이터가 보인다. ad.quickbrownfoxes.org 라는 곳과 dns 패킷을 엄청나게 주고받았는데 앞쪽에 RGlkIHlvd ~~ 로 시작하는 이상한 데이터도 같이 보인다. 생긴것으로 보아 base64로 인코딩 되어있는듯 하다. 이제 이 패킷에서 데이터를 뽑아내보자. 데이터를 뽑아낼때는 Wireshark 보다 Wireshark의 콘솔 버전인 Tshark를 이..

CTF/포렌식 2022.04.05

[Burp Suite] 최신버전 다운로드 및 설치/사용방법

Burp Suite(버프 스위트) 최신버전 다운로드 및 설치방법을 알아보자. 버프 스위트는 PortSwigger에서 개발한 웹 프록시 도구이다. 웹해킹 문제를 풀때 주로 사용하는 도구이다. 웹은 클라이언트의 요청과 서버의 응답으로 동작한다. 우리가 구글에 접속할 때, 내가(브라우저가) 서버에 요청을 보내게 되고, 구글 서버가 내 요청을 처리해서 응답을 보내면 접속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웹해킹을 할때는 이 요청/응답 패킷에 다양한 변수들을 조작하는것이 필수적인데 크롬, 파이어폭스 같은 웹 브라우저 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그럴때 사용하는게 버프 스위트 같은 웹 프록시 도구이다. 버프 스위트는 이렇게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 위치해서 중간에서 오고가는 요청/응답 패킷을 가로채 대신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

[Docker] Kali Linux에 Docker/Docker-compose 설치하기

Kali Linux에 Docker를 설치해보자. (Kali Linux 설치법은 여기를 참고 : https://hackingstudypad.tistory.com/58) [Kali Linux] 최선버전 다운로드 및 설치방법 Kali Linux 최신버전 설치 및 다운로드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칼리리눅스는 Offensive Security에서 개발한 데비안 기반의 리눅스 운영체제이다. 모의해킹 공부를 할때 거의 필수적으로 사용하는데 hackingstudypad.tistory.com 도커(Docker)는 가상화 프로그램의 한 종류이다. Vmware Workstation 이나 VirtualBox 처럼 운영체제를 가상화해서 사용한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그램인데 이 둘과 차이점이 있다면 아주 경량화 됐다는것이다. ..

[Root Me] HTTP - IP restriction bypass - 웹해킹 / 헤더변조

10점짜리 웹해킹 문제이다. network admin이 회사 내에 메일을 뿌린거 같다. 사내 인트라넷을 쓰기 위해서 사설 ip 대역으로 접근제한을 걸어놨다는 내용이다. 참고로 사설 IP 대역은 10.0.0.0 ~ 10.255.255.255 172.16.0.0 ~ 172.31.255.255 192.168.0.0 ~ 192.168.255.255 세 가지 대역이 있다. 문제페이지에 들어가면 로그인 창이 하나 나오게 된다. 맨 위에 내 아이피가 찍히게 되는데, 내 아이피는 12~~ 로 시작하기 때문에 사설 IP 대역이 아니다. 그래서 IP주소가 LAN 구간에 속하지 않는다고 튕기게 된다. 여기에 정상적으로 접근하려면 내 IP가 사설IP 대역인것처럼 웹 서버를 속여야 한다. https://developer.moz..

워게임/Root Me 2022.04.03

[Root Me] HTTP - User-agent - 웹해킹 / 헤더변조

10점짜리 웹해킹 문제이다. 문제 제목이 User-agent 인걸로 보아 User-agent 헤더를 이용해서 풀면 되는듯 하다. User-agent 헤더는 웹 요청 패킷에 있는 헤더이다. 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HTTP/Headers/User-Agent MDN에 있는 설명을 인용해서 보면, 클라이언트의 어플리케이션, 운영체제, 벤더 및 버전 등을 식별해주는 역할을 한다고 한다. 실제로 위에 캡쳐된 패킷을 보면 Mozilla/5.0 (Windows NT 10.0) 이런식으로 브라우저나 운영체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것을 볼 수 있다. 문제페이지에 들어가보면 "admin" 브라우저가 아니라는 안내문구가 뜬다. 이런건 간단하게 User-agent 헤더를 ..

워게임/Root Me 2022.04.0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