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해킹대회 617

[n00bzCTF] Conditions - 웹해킹

조금 어려웠던 웹해킹 문제 일반적인 해킹 기법에 대한 문제가 아니라서 적당한 페이로드를 찾는데 시간이 걸렸다. 문제에서는 server.py 파일과 문제 페이지 주소가 주어진다. 문제 페이지에 접속하면 이렇게 Username 을 입력할 수 있는 칸이 나온다. from flask import Flask, request, render_template, render_template_string, redirect import subprocess import urllib flag = open('flag.txt').read() app = Flask(__name__) @app.route('/') def main(): return redirect('/login') @app.route('/login',methods=['G..

CTF/웹해킹 2023.06.22

[n00bzCTF] Club_N00b - 웹해킹

초심자들을 위한 CTF 의 첫번째 웹해킹 문제 사실 이번문제는 좀 쉬워서 해킹이라 하기 좀 뭐하다. 문제페이지에 접속하면 나오는 화면이다. 가장 radical 한 해커만 입장할 수 있는 club n00b 이라고 한다. 나는 radical 하지 않기 때문에 입장이 거부되었다는 메세지가 뜬다. 아래쪽에 Check Status 버튼을 눌러봤는데 멤버 리스트에 없다는 메세지가 나온다. URL 을 보니 secret_phrase 파라미터에 nope 가 들어가 있는것이 보인다. nope 를 아까 강조되어있던 단어인 radical 로 변경해줬다. 그리고 다시 새로고침을 하면 웹페이지와 URL에 플래그가 적혀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

CTF/웹해킹 2023.06.21

[DanteCTF] HellJail - MISC / Jail Escape

Jail Escape 와 관련된 문제 Hard 로 분류된 만큼 조금 어려운 문제였다. 대회 당시에는 못풀었는데 계속 시도해보다가 풀어버렸다. #!/usr/bin/env python3 from string import ascii_letters code = input('> ') if any(c in ascii_letters for c in code): print('You will never leave this place!') elif any(c in '.:;,-_@"=/%\\' for c in code): print('You will never reach this point, but still, you CANNOT leave!') else: exec(code) 문제에서 주어지는 HellJail.py 의 내용..

CTF/MISC 2023.06.20

[DanteCTF] Hanging Nose - MISC / 3D / STL

3D 개체와 관련한 MISC 문제 MISC는 miscellaneous의 약자로 여러가지 잡다한 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문제에서 주어지는 것은 HangingNose.stl 파일이다. .stl 파일을 솔직히 처음봤는데 STereoLithography 의 약자로 CAD 파일 포맷이라고 한다. Windows10 에서도 열 수있어서 저렇게 아이콘이 보인다. 실행시키면 그림판3D 에서 이렇게 내용을 볼 수 있다. 저런 쇠공모양 개체가 보이는데 이리저리 돌려봐도 뭔가 특이한점이 보이지 않았다. 그림판3D 의 한계라고 생각하고, 저 쇠공 내부에 플래그가 있을거라 판단했다. 온라인에서 STL 을 볼 수 있는 사이트를 찾았다. (https://www.viewstl.com/#!) 해당 페이지에 업로드하면 이렇게 3D ..

CTF/MISC 2023.06.19

[DanteCTF] Dumb Admin - 웹해킹 / Webshell

파일업로드 취약점과 관련된 웹 해킹 문제 소스파일은 따로 없이 문제 페이지 주소만 주어진다. 문제페이지에 접속하면 이렇게 로그인 페이지가 나온다. 문제 설명이나 주석 등등에 로그인 계정과 관련한 내용이 없었기에 가장 간단한 SQL Injection 페이로드인 admin' or 1=1-- - 으로 로그인을 시도해봤다. SQL Injection 이 먹혀서 바로 다음 화면인 Admin Dashboard 로 넘어갔다. 파일을 업로드 할 수 있는 기능이 있는데, JPEG 파일만 업로드 가능하도록 안내하고 있다. 파일 업로드 취약점을 이용하기 위해 위와 같이 간단한 php 웹쉘을 작성했다. 파일이름은 shell.php 로 저장했다. 해당 파일을 업로드 시도해보니 .php 확장자는 이미지가 아니라면서 업로드가 거부된..

CTF/웹해킹 2023.06.18

[DanteCTF] Flag Fabber - MISC / PCB

MISC 카테고리에 있던 문제 처음 경험해보는 유형의 문제였다. MISC는 miscellaneous의 약자로 여러가지 잡다한 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문제에서 주어지는 것은 FlagFabber.zip 파일이다. 압축을 풀어보니 이런 파일들이 들어있다. gbl, gbs, gbp 등등 생전 처음보는 확장자들이었다. 구글에 확장자를 검색해서 찾아보니 PCB(Printed Circuit Board) 에서 사용되는 파일 포맷이라고 한다. 이런 것들을 거버 파일이라고 부르는듯 한데 찾아보니 온라인 뷰어가 있었다. (https://www.samplepcb.co.kr/gerberview/) 파일을 업로드하면 이런 화면이 나온다. not here :p 라는 문구와 함께 무슨 회로 같이 생긴 그림이 보인다. 이것 저것..

CTF/MISC 2023.06.17

[DanteCTF] Dante Barber Shop - 웹해킹 / SQL Injection

SQL Injection 과 관련된 웹해킹 문제 인젝션 자체는 쉬웠는데 공격 벡터를 찾아내는데 시간이 좀 걸렸다. 소스는 따로 없고 문제페이지 주소만 주어진다. 문제 페이지에 접속하면 이렇게 간단한 미용실 홍보 페이지가 나온다. 오른쪽 위에 보면 Login 버튼이 있는데 들어가면 이렇게 로그인 창이 나온다. 처음에 여기다가 SQL Injecion 을 해서 로그인을 우회하는건줄 알았는데 아무리 해봐도 잘 안돼서 다른 곳을 찾아보게 되었다. F12 개발자도구를 이용해 HTML을 살펴보다가 찾았는데 img src 를 보면 barber2.jpg 부터 barber7.jpg 까지 있는것을 볼 수 있다. barber1.jpg 가 없는게 이상해서 URL에 직접 주소를 쳐 접근해보니 Backup User 의 ID 와 P..

CTF/웹해킹 2023.06.16

[DanteCTF] Who Can Haz Flag - 포렌식 / Wireshark / Tshark / awk

네트워크 패킷과 관련한 포렌식 문제 제목이 문제의 힌트였다. 문제에서 주어지는 것은 WhoCanHazFlag.pcapng 파일이다. .pcapng 파일은 Wireshark 라는 도구로 열어볼 수 있다. Wireshark 로 열어보면 이런 화면이 나온다. DNS, UDP 패킷부터 HTTP, OCSP, TLS 등등 다양한 프로토콜의 패킷이 약 900개 정도 캡쳐되어 있다. 문제는 어떤 패킷을 골라서 봐야하냐는 것인데 아까 언급했듯이 문제 제목이 힌트였다. 패킷 중에 Who has 라는 문구를 가진 패킷이 있따. ARP 패킷인데 Address Resolution Protocol 으로 네트워크 상에서 IP 주소를 물리적 네트워크 주소로 대응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이 패킷의 맨 뒷부분을 보면 flgD..

CTF/포렌식 2023.06.15

[DanteCTF] Unknown Site 2 - 웹해킹

지난 문제에 이어서 계속하는 웹해킹 문제 (https://hackingstudypad.tistory.com/535) 같은 사이트에서 계속해서 문제를 풀면 된다. 지난 문제에서 /robots.txt 를 통해 s3cretDirectory1, 2, 3 디렉토리가 있는것을 확인했다. /s3cretDirectory1 로 접근해보니 Hello There User! 이라는 문구가 출력된다. /s3cretDirectory2 에서는 Hello Again User! 가 출력된다. /s3cretDirectory3 으로 가면 이런 화면이 나오는데 엄청나게 많은 경로들이 보인다. 각 경로들은 접속해보면 Hello There User! 가 출력되는데, 크기 순으로 보니 하나만 크기가 93인 페이지가 있었다. 그래서 접속해봤는데 ..

CTF/웹해킹 2023.06.14

[DanteCTF] Unknown Site 1 - 웹해킹 / robots.txt

이번 CTF 에서 가장 쉬웠던 문제 이전에도 비슷한 유형을 다뤘었다. (https://hackingstudypad.tistory.com/78) 별다른 소스코드 없이 문제페이지 주소만 제공이 된다. 문제페이지에 들어가면 달랑 이 사진하나만 나온다. 구글 로고와 로봇 사진이 있는데 로봇 사진이 나왔다면 무조건 robots.txt 관련된 문제이다. 블로그를 운영한다면 익숙한 단어일 것이다. 이 문제는 robots.txt 를 이용해 푸는 문제이다.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에 있는 바로 그 robots.txt이다. robots.txt는 로봇 배제 표준이라고 해서 웹 사이트에 로봇이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일종의 규약이다. 검색엔진들이 내 웹페이지를 마구마구 접근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웬만한 웹사이..

CTF/웹해킹 2023.06.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