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해킹 640

[2021 화이트햇 콘테스트] G-1 - 포렌식 / Sysmon View / Powershell

2021 화이트햇 콘테스트 예선전에 나왔던 문제 시간이 꽤 지났지만 하나씩 문제풀이를 올려본다. CTFD 플랫폼을 이용해 진행이 되었는데, 문제는 캡쳐를 못해서 써놨던 내용을 복기해서 작성하는 Write up이다. 거의 대부분의 문제는 S1_Docs_Malware.vmx 파일로 진행된다. 해당 파일은 침해사고가 발생한 Windows10 시스템을 이미징한 것이다. G-1 희생자 PC에 명령 및 제어 목적으로 통신이 맺어진 시각은 언제이며 이 때 공격자 아이피와 희생자의 Local Port는 무엇인가? G-1 문제는 희생자 PC에 통신이 맺어진 시각, 그리고 그때의 공격자 IP 주소와 희생자의 Port를 찾는 것이다. 이번 문제를 풀때는 B-2 문제와 같이 Sysmon 로그를 사용했다. (https://ha..

CTF/포렌식 2023.08.02

[CTFlearn] Old memories - 프로그래밍 / PIL

CTFlearn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Hard 난이도 문제 이번 문제는 Hard 치고는 쉬운 편이다. 카테고리도 프로그래밍 보단 스테가노그래피에 가까운것 같다. 문제에서 주어지는 것은 1.png, 2.png 두 개의 파일이다. 이전에 블로그에서 유사한 문제를 다룬적이 있었는데 거의 그대로 하면 된다. (https://hackingstudypad.tistory.com/125) 이번 문제는 Python PIL 라이브러리를 이용해서 풀었다. PIL은 Python Imaging Library의 약자로 파이썬으로 이미지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해주는 라이브러리이다. pip install image pip install pillow 두 명령어를 이용해서 다운로드 받아주면 된다. from PIL impor..

워게임/CTFlearn 2023.08.01

[2021 화이트햇 콘테스트] F-1 - 포렌식 / Wireshark

[2021 화이트햇 콘테스트] H-1 - 포렌 2021 화이트햇 콘테스트 예선전에 나왔던 문제 시간이 꽤 지났지만 하나씩 문제풀이를 올려본다. CTFD 플랫폼을 이용해 진행이 되었는데, 문제는 캡쳐를 못해서 써놨던 내용을 복기해서 작성하는 Write up이다. 거의 대부분의 문제는 S1_Docs_Malware.vmx 파일로 진행된다. 해당 파일은 침해사고가 발생한 Windows10 시스템을 이미징한 것이다. F-1 문제는 이전 E-1에서 계속 이어지는 문제이다. (https://hackingstudypad.tistory.com/581) F-1 랜섬웨어로 암호화된 hwp 파일을 복호화 하여라 이번 문제는 랜섬웨어 악성코드로 암호화된 hwp 파일을 복호화 하는 문제였다. 이미지 내에 있는 수많은 암호화된 파..

CTF/포렌식 2023.07.31

[Root Me] Hash - SHA-2 - 암호학

SHA 해시함수와 관련된 암호학 카테고리 문제 문제 설명을 보면 전송중에 세션을 인터셉트 당했는데 해시 포맷이 알 수 없는것처럼 보인다고 한다. 정답은 SHA-1 해시로 제출하라고 한다. 문제에서 주어지는 해시값은 위와 같다. 가만보면 조금 이상한걸 발견할 수 있는데 해시값을 표현할땐 16진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0 ~ 9의 숫자와 a ~ f 까지의 알파벳이 사용된다. 그런데 중간에 뜬금없이 k 가 끼어있다. 주어진 해시값의 길이를 계산해보니 65 글자였는데 *4를 하면 260 이 된다. 그런데 해시 크기가 260인 해시 알고리즘은 존재하지 않는다. 만약 k를 빼게 된다면 64글자가 되고, *4 하면 256 비트가 되니 k가 중간에 인터셉트 되어서 임의로 삽입된 글자일거라 판단했다. 온라인 해시 크랙 사이..

워게임/Root Me 2023.07.30

[2021 화이트햇 콘테스트] E-1 - 포렌식 / Wireshark / Powershell

2021 화이트햇 콘테스트 예선전에 나왔던 문제 시간이 꽤 지났지만 하나씩 문제풀이를 올려본다. CTFD 플랫폼을 이용해 진행이 되었는데, 문제는 캡쳐를 못해서 써놨던 내용을 복기해서 작성하는 Write up이다. 거의 대부분의 문제는 S1_Docs_Malware.vmx 파일로 진행된다. 해당 파일은 침해사고가 발생한 Windows10 시스템을 이미징한 것이다. E-1 문제는 이전 D-1에서 계속 이어지는 문제이다. (https://hackingstudypad.tistory.com/580) E-1 랜섬웨어 악성코드를 다운로드 하는 URL은 무엇인가? E-1 부턴 윈도우 이미지에서 가장 먼저 눈에 띄었던 랜섬웨어 악성코드에 대해 조사한다. 랜섬웨어를 다운로드 하는 URL을 찾는 것인데 지난번 D-1 문제에..

CTF/포렌식 2023.07.29

[2021 화이트햇 콘테스트] D-1 - 포렌식 / Powershell

2021 화이트햇 콘테스트 예선전에 나왔던 문제 시간이 꽤 지났지만 하나씩 문제풀이를 올려본다. CTFD 플랫폼을 이용해 진행이 되었는데, 문제는 캡쳐를 못해서 써놨던 내용을 복기해서 작성하는 Write up이다. 거의 대부분의 문제는 S1_Docs_Malware.vmx 파일로 진행된다. 해당 파일은 침해사고가 발생한 Windows10 시스템을 이미징한 것이다. D-1 문제는 이전 C-3에서 계속 이어지는 문제이다. (https://hackingstudypad.tistory.com/578) D-1 자동 실행 악성코드가 추가 페이로드를 다운로드 받는 아이피와 파일 경로는 무엇인가? D-1 은 자동 실행 악성코드가 추가 페이로드를 다운받는 서버 주소와 해당 파일의 경로를 찾는 문제이다. 자동 실행 악성코드는..

CTF/포렌식 2023.07.27

[HackTheBox] Neonify - 웹해킹 / SSTI / Ruby

HackTheBox에서 제공하는 EASY 난이도의 웹해킹 문제 Ruby 로 개발된 웹페이지에 대한 SSTI 취약점과 관련된 문제이다. 문제 소스파일과 함께 문제페이지 주소가 주어진다. 문제 페이지에 들어가면 Ruby로 개발된 것을 어필하는듯 빨간 보석들이 보이고 중간에 입력할 수 있는 칸이 하나 보인다. 웹 페이지의 기능은 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를 아래쪽에 네온 효과를 줘서 출력시키는 것이 전부이다. 처음엔 SSTI 관련 문제인지 모르고 XSS 페이로드를 테스트 해보고자 를 입력해 보았다. 그랬더니 Malicious Input Detected 라는 문구가 출력된다. class NeonControllers < Sinatra::Base configure do set :views, "app/views" set..

[2021 화이트햇 콘테스트] C-3 - 포렌식 / WinPrefetchView

2021 화이트햇 콘테스트 예선전에 나왔던 문제 시간이 꽤 지났지만 하나씩 문제풀이를 올려본다. CTFD 플랫폼을 이용해 진행이 되었는데, 문제는 캡쳐를 못해서 써놨던 내용을 복기해서 작성하는 Write up이다. 거의 대부분의 문제는 S1_Docs_Malware.vmx 파일로 진행된다. 해당 파일은 침해사고가 발생한 Windows10 시스템을 이미징한 것이다. C-3 문제는 이전 C-2에서 계속 이어지는 문제이다. (https://hackingstudypad.tistory.com/577) 지난번 문제에선 hwp 파일의 postscript 를 분석해 \\Miscosoft\\Windows\\Start Menu\\Programs\\StartUp 에 IIsExt.vbs 파일이 생성된다는 것을 알았고, 파일 속..

CTF/포렌식 2023.07.25

[2021 화이트햇 콘테스트] C-2 - 포렌식

2021 화이트햇 콘테스트 예선전에 나왔던 문제 시간이 꽤 지났지만 하나씩 문제풀이를 올려본다. CTFD 플랫폼을 이용해 진행이 되었는데, 문제는 캡쳐를 못해서 써놨던 내용을 복기해서 작성하는 Write up이다. 거의 대부분의 문제는 S1_Docs_Malware.vmx 파일로 진행된다. 해당 파일은 침해사고가 발생한 Windows10 시스템을 이미징한 것이다. C-2 문제는 역시나 이전 C-1에서 계속 이어지는 문제이다. (https://hackingstudypad.tistory.com/576) C-2 드랍퍼가 자동 실행 악성코드를 파일 시스템에 최초로 생성한 시각은 언제인가? C-2 문제는 자동실행 악성코드가 최초로 생성된 시각을 물어본다. 지난번 C-1 문제에서 PostScript 를 분석해 자동 ..

CTF/포렌식 2023.07.23

[2021 화이트햇 콘테스트] C-1 - 포렌식

2021 화이트햇 콘테스트 예선전에 나왔던 문제 시간이 꽤 지났지만 하나씩 문제풀이를 올려본다. CTFD 플랫폼을 이용해 진행이 되었는데, 문제는 캡쳐를 못해서 써놨던 내용을 복기해서 작성하는 Write up이다. 거의 대부분의 문제는 S1_Docs_Malware.vmx 파일로 진행된다. 해당 파일은 침해사고가 발생한 Windows10 시스템을 이미징한 것이다. C-1 문제는 역시나 이전 B-1에서 계속 이어지는 문제이다. (https://hackingstudypad.tistory.com/569) B-1 문제에서는 A-3에서 발견한 3분기-취약점-조치권고.hwp 파일을 분석했었다. C-1 드랍퍼가 생성한 자동실행 악성코드의 파일명은 무엇인가? C-1은 드랍퍼가 생성한 자동실행 악성코드의 파일명을 찾는것이..

CTF/포렌식 2023.07.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