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헤더변조 9

[SuNiNaTaS] Challenge4 - 웹해킹 / 헤더변조

SuNiNaTaS 에서 제공하는 네번째 문제 웹해킹 문제이다. 문제 페이지에 접속하면 이런 화면이 나온다. 포인트가 적혀있는 상자가 하나있고 아래쪽엔 User-Agent 라고 적혀있다. 아무래도 http request 헤더 중 하나인 User-Agent 의 값을 바꿔야 하나보다. F12를 눌러 개발자도구를 확인해보니 힌트가 있었다. 포인트를 50으로 만들고 User-Agent 값을 SuNiNaTaS 로 바꾸면 되는듯 하다. User-Agent는 버프스위트 같은 도구로 바꿀수도 있지만 크롬 확장프로그램을 이용해도 된다. ModHeader 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된다. 설치도 아주 간단하다. 설치하면 크롬 맨 위에 아이콘이 생기는데 그걸 열어서 이렇게 원하는 값으로 적어주면 된다. User-Agent 값을..

워게임/SuNiNaTaS 2024.02.12

[n00bzCTF] Secret Group - 웹해킹 / 헤더변조

쉬운 난이도의 문제였지만 상당히 귀찮게 했던 웹해킹 문제 문제페이지에 들어가면 이런 문구가 나온다. agent 가 n00bz-4dm1n secure browser 가 아니라고 하는데 이건 웹 요청 패킷을 보낼때 헤더에 있는 User-Agent 의 값을 보고 판별한다. 요청 패킷을 수정해서 보내야 한다. https://chrome.google.com/webstore/search/modheader?hl=ko 요청 패킷의 해더를 변조할 때는 ModHeader 라는 확장 프로그램을 쓰면 편하다. Chrome 확장 프로그램 설치페이지로 가서 modheader 라고 검색하면 설치할 수 있다. ModHeader를 실행시켜서 이렇게 User-Agent 를 n00bz-4dm1n 으로 변경시켜 활성화해주면 웹페이지가 이렇..

CTF/웹해킹 2023.06.26

[angstromCTF] Celeste Tunneling Association - 웹해킹 / Burp Suite

간단한 웹해킹 문제이다. 문제페이지 주소와 소스코드가 주어진다. 문제페이지에 접속하면 까만 화면에 이렇게 하얀 글씨가 써있다. 이거 외엔 별다른 기능이 없어서 소스코드를 바로 열어봤다. # run via `uvicorn app:app --port 6000` import os SECRET_SITE = b"flag.local" FLAG = os.environ['FLAG'] async def app(scope, receive, send): assert scope['type'] == 'http' headers = scope['headers'] await send({ 'type': 'http.response.start', 'status': 200, 'headers': [ [b'content-type', b'tex..

CTF/웹해킹 2023.05.15

[Tenable CTF] Web 문제들(2/3) - 웹해킹 / 개발자도구 / 헤더변조

Tenable CTF 에서 웹해킹 카테고리에 있던 문제들은 하나의 웹 사이트가 주어지고, 그 안에서 여러 플래그를 찾아 해결하는 방식이었다. 간단한 문제들이 많아서 여러개를 한번에 포스팅한다. 위에 보이는 것이 공통적으로 제공되는 웹사이트이다. 네번째 문제는 Show me what you got 이다. 문제 설명을 보면 Find the "indexes" flag 라고 적혀있다. indexes 라는 단어를 강조한 것을 보고 Directory Indexing 취약점이라는것을 알아냈다. F12의 개발자 도구를 이용해 웹페이지 구조를 대강 살펴봤다. images 라는 폴더가 있는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URL에 /images/ 라고 입력했더니 디렉토리 인덱싱 취약점으로 인해 Index of /images 페이지..

CTF/웹해킹 2023.04.04

[b01lers CTF] Programs Only - 웹해킹 / 헤더변조 / robots.txt

쉬운 난이도의 웹해킹 문제 별다른 소스파일은 주어지지 않고 문제 페이지 주소만 제공된다. 문제 페이지에 접속하면 이런 화면이 나온다. Tron City, Sea of Simulation, Disc Areana, 0001001 Club.. 뭔가 사이버틱 한 사진들이 있고, 맨 위에는 환영문구처럼 보이는 멘드가 써있는데 Welcome 'Mozilla/5.0 (WindowsNT 10.0; Win64; x64) AppleWebKit/537.36 ( KHTML, like Gecko) Chrome/85.0.4183.121 Safrari/537.36' to The Grid 라고 적혀있다. 파란색으로 표시한 부분이 뭔가 익숙한데, 이건 일반적으로 요청 헤더에서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user-agent 헤더의 내용이다..

CTF/웹해킹 2022.11.24

[CTFlearn] Don't Bump Your Head(er) - 웹해킹 / 헤더변조

CTFlearn의 열다섯번째 문제 두번째로 나온 Medium 난이도의 문제이다. 또 처음으로 풀이수가 10000 이하로 내려간 문제이다. 풀이수가 적은건 아무래도 문제가 어려워서라기 보다는 여기까지 꾸준히 하는사람이 그렇게 많지 않아서 그런듯 하다. 문제 제목에 Head(er) 이라고 적혀있는걸 보면 알 수 있듯이 간단한 웹 요청패킷 헤더 변조 문제이다. 문제 페이지에 접속하면 user agent 가 올바르지 않다면서 웹사이트에 접속할 수 없다는 문구가 나온다. 뒤에는 The one you supplied is : 라는 문구가 나오면서 Mozilla/5.0 (Windows NT 10.0; Win64; x64) AppleWebKit/537.36 (KHTML, like Gecko) Chrome/104.0.0..

워게임/CTFlearn 2022.08.23

[Root Me] HTTP - Headers - 웹해킹 / 헤더변조

15점짜리 HTTP 헤더변조 문제 문제 설명을 읽어보면 웹페이지의 관리자 권한으로 접근하라고 한다. 우선 문제페이지에 접속해본다. 접속을 하면 이런 화면이 나온다. Content is not the only part of an HTTP response! 라는 문구가 보이는데 콘텐츠가 HTTP 응답의 모든 부분이 아니라는 말이다. 문제 제목이 Header 이기 때문에 헤더를 먼저 살펴보도록 하자. f12를 눌러 개발자도구에 들어간 후 네트워크 탭을 선택한다. 그상태에서 웹페이지를 새로고침 하면 위처럼 요청/응답 패킷을 볼 수 있는데 응답 패킷의 헤더를 살펴보니 Header-RootMe-Admin 라는 이름의 헤더가 보이고, 그 값이 none 인걸 확인할 수 있다. 해당 헤더를 변조시켜 보자. https:/..

워게임/Root Me 2022.04.21

[Root Me] HTTP - IP restriction bypass - 웹해킹 / 헤더변조

10점짜리 웹해킹 문제이다. network admin이 회사 내에 메일을 뿌린거 같다. 사내 인트라넷을 쓰기 위해서 사설 ip 대역으로 접근제한을 걸어놨다는 내용이다. 참고로 사설 IP 대역은 10.0.0.0 ~ 10.255.255.255 172.16.0.0 ~ 172.31.255.255 192.168.0.0 ~ 192.168.255.255 세 가지 대역이 있다. 문제페이지에 들어가면 로그인 창이 하나 나오게 된다. 맨 위에 내 아이피가 찍히게 되는데, 내 아이피는 12~~ 로 시작하기 때문에 사설 IP 대역이 아니다. 그래서 IP주소가 LAN 구간에 속하지 않는다고 튕기게 된다. 여기에 정상적으로 접근하려면 내 IP가 사설IP 대역인것처럼 웹 서버를 속여야 한다. https://developer.moz..

워게임/Root Me 2022.04.03

[Root Me] HTTP - User-agent - 웹해킹 / 헤더변조

10점짜리 웹해킹 문제이다. 문제 제목이 User-agent 인걸로 보아 User-agent 헤더를 이용해서 풀면 되는듯 하다. User-agent 헤더는 웹 요청 패킷에 있는 헤더이다. 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HTTP/Headers/User-Agent MDN에 있는 설명을 인용해서 보면, 클라이언트의 어플리케이션, 운영체제, 벤더 및 버전 등을 식별해주는 역할을 한다고 한다. 실제로 위에 캡쳐된 패킷을 보면 Mozilla/5.0 (Windows NT 10.0) 이런식으로 브라우저나 운영체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것을 볼 수 있다. 문제페이지에 들어가보면 "admin" 브라우저가 아니라는 안내문구가 뜬다. 이런건 간단하게 User-agent 헤더를 ..

워게임/Root Me 2022.04.0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