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CTF/포렌식 160

[2021 화이트햇 콘테스트 본선] A-2 - 포렌식 / PPTP / SYSLOG

2021 화이트햇 콘테스트 본선에 나왔던 문제 시간이 꽤 지났지만 하나씩 문제풀이를 올려본다. CTFD 플랫폼을 이용해 진행이 되었는데, 문제는 캡쳐를 못해서 써놨던 내용을 복기해서 작성하는 Write up이다. 본선의 시작은 S2_VPN_Viction.vmx 파일로 진행된다. 해당 파일은 침해사고가 발생한 리눅스 시스템을 이미징한 것이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이미지는 서버 앞단에 있는 VPN 이미지이다. A-2 문제는 지난 A-1 문제에서 이어지는 문제이다. (https://hackingstudypad.tistory.com/610) A-2 VPN 서버에 사용자가 최초로 접근한 시각과 아이피는 무엇인가? (로그에서 확인할 수 있는 시간으로 답하시오) A-2 문제는 VPN 서버에 사용자가 최초로 접..

CTF/포렌식 2023.08.29

[2021 화이트햇 콘테스트 본선] A-1 - 포렌식

2021 화이트햇 콘테스트 본선에 나왔던 문제 시간이 꽤 지났지만 하나씩 문제풀이를 올려본다. CTFD 플랫폼을 이용해 진행이 되었는데, 문제는 캡쳐를 못해서 써놨던 내용을 복기해서 작성하는 Write up이다. 본선의 시작은 S2_VPN_Viction.vmx 파일로 진행된다. 해당 파일은 침해사고가 발생한 리눅스 시스템을 이미징한 것이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이미지는 서버 앞단에 있는 VPN 이미지이다. A-1 공격자가 웹페이지에 공격을 수행한 최초 시각과 당시 공격자 IP는 무엇인가? A-1 문제는 공격자가 웹페이지에 공격을 수행한 최초 시각과 당시 공격자 IP를 찾는것이다. Write up 다시 쓰려고 가지고 있던 이미지를 켰는데 리눅스 계정 비밀번호를 따로 메모해두지 않아서 로그인 할 수가..

CTF/포렌식 2023.08.27

[2021CCE] Ransom - 포렌식 / XOR

이번엔 랜섬웨어에 관련된 문제이다. 랜섬웨어 악성코드인 cce_ransom.exe 랜섬노트인 cce_ransom_note.txt 그리고 그 아래 확장자가 .pdf_cce_ransom 으로 암호화된 파일들이 보인다. 랜섬노트를 열어 내용을 읽어본다. 파일들은 랜덤한 키를 기반으로 xor 암호화 되었다고 한다. 친절하게 두가지 풀이방법을 안내하는데 무차별 대입을 해서 기적적으로 암호화 키를 찾아내거나 암호화의 취약점을 이용해서 해결을 하면 된다고 한다. 조금만 생각해보면 아주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다. A XOR B = C 라면 C XOR B = A 가 되기 때문에 암호화된 파일을 똑같은 키로 한번 더 XOR 암호화 한다면 사실 복호화가 되는 것이다. 이렇게 암호화된 flag.pdf_cce_ransom 파일..

CTF/포렌식 2023.08.25

[2021CCE] Special Event - 포렌식

2021CCE에 출제된 포렌식 문제 이번에도 기본에 충실하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시스템 이벤트 로그 분석을 하는 문제이다. 문제에서 주어지는 log.evtx 파일은 Sysmon 이벤트 로그를 담고 있다. https://hackingstudypad.tistory.com/571 [2021 화이트햇 콘테스트] B-2 - 포렌식 / Sysmon View 2021 화이트햇 콘테스트 예선전에 나왔던 문제 시간이 꽤 지났지만 하나씩 문제풀이를 올려본다. CTFD 플랫폼을 이용해 진행이 되었는데, 문제는 캡쳐를 못해서 써놨던 내용을 복기해서 작성하는 hackingstudypad.tistory.com Sysmon 이벤트 로그에 대해서는 지난 화이트햇 콘테스트 문제 풀이에서 많이 다뤄서 넘어간다. 로그는 많이 없어서 조..

CTF/포렌식 2023.08.22

[2021 화이트햇 콘테스트] H-1 - 포렌식 / Wireshark / Certutil

2021 화이트햇 콘테스트 예선전에 나왔던 문제 시간이 꽤 지났지만 하나씩 문제풀이를 올려본다. CTFD 플랫폼을 이용해 진행이 되었는데, 문제는 캡쳐를 못해서 써놨던 내용을 복기해서 작성하는 Write up이다. 거의 대부분의 문제는 S1_Docs_Malware.vmx 파일로 진행된다. 해당 파일은 침해사고가 발생한 Windows10 시스템을 이미징한 것이다. H-1 문제는 이전 G-1에서 계속 이어지는 문제이다. (https://hackingstudypad.tistory.com/583) H-1 공격자가 최초로 파일을 유출한 시각과 해당 파일의 해시를 구하시오 H-1 문제는 공격자가 최초로 파일을 유출한 시각과 그 파일의 해시값을 구하는것이 목표이다. 지난 G-1 문제에서 Sysmon 로그를 통해 34..

CTF/포렌식 2023.08.04

[2021 화이트햇 콘테스트] G-1 - 포렌식 / Sysmon View / Powershell

2021 화이트햇 콘테스트 예선전에 나왔던 문제 시간이 꽤 지났지만 하나씩 문제풀이를 올려본다. CTFD 플랫폼을 이용해 진행이 되었는데, 문제는 캡쳐를 못해서 써놨던 내용을 복기해서 작성하는 Write up이다. 거의 대부분의 문제는 S1_Docs_Malware.vmx 파일로 진행된다. 해당 파일은 침해사고가 발생한 Windows10 시스템을 이미징한 것이다. G-1 희생자 PC에 명령 및 제어 목적으로 통신이 맺어진 시각은 언제이며 이 때 공격자 아이피와 희생자의 Local Port는 무엇인가? G-1 문제는 희생자 PC에 통신이 맺어진 시각, 그리고 그때의 공격자 IP 주소와 희생자의 Port를 찾는 것이다. 이번 문제를 풀때는 B-2 문제와 같이 Sysmon 로그를 사용했다. (https://ha..

CTF/포렌식 2023.08.02

[2021 화이트햇 콘테스트] F-1 - 포렌식 / Wireshark

[2021 화이트햇 콘테스트] H-1 - 포렌 2021 화이트햇 콘테스트 예선전에 나왔던 문제 시간이 꽤 지났지만 하나씩 문제풀이를 올려본다. CTFD 플랫폼을 이용해 진행이 되었는데, 문제는 캡쳐를 못해서 써놨던 내용을 복기해서 작성하는 Write up이다. 거의 대부분의 문제는 S1_Docs_Malware.vmx 파일로 진행된다. 해당 파일은 침해사고가 발생한 Windows10 시스템을 이미징한 것이다. F-1 문제는 이전 E-1에서 계속 이어지는 문제이다. (https://hackingstudypad.tistory.com/581) F-1 랜섬웨어로 암호화된 hwp 파일을 복호화 하여라 이번 문제는 랜섬웨어 악성코드로 암호화된 hwp 파일을 복호화 하는 문제였다. 이미지 내에 있는 수많은 암호화된 파..

CTF/포렌식 2023.07.31

[2021 화이트햇 콘테스트] E-1 - 포렌식 / Wireshark / Powershell

2021 화이트햇 콘테스트 예선전에 나왔던 문제 시간이 꽤 지났지만 하나씩 문제풀이를 올려본다. CTFD 플랫폼을 이용해 진행이 되었는데, 문제는 캡쳐를 못해서 써놨던 내용을 복기해서 작성하는 Write up이다. 거의 대부분의 문제는 S1_Docs_Malware.vmx 파일로 진행된다. 해당 파일은 침해사고가 발생한 Windows10 시스템을 이미징한 것이다. E-1 문제는 이전 D-1에서 계속 이어지는 문제이다. (https://hackingstudypad.tistory.com/580) E-1 랜섬웨어 악성코드를 다운로드 하는 URL은 무엇인가? E-1 부턴 윈도우 이미지에서 가장 먼저 눈에 띄었던 랜섬웨어 악성코드에 대해 조사한다. 랜섬웨어를 다운로드 하는 URL을 찾는 것인데 지난번 D-1 문제에..

CTF/포렌식 2023.07.29

[2021 화이트햇 콘테스트] D-1 - 포렌식 / Powershell

2021 화이트햇 콘테스트 예선전에 나왔던 문제 시간이 꽤 지났지만 하나씩 문제풀이를 올려본다. CTFD 플랫폼을 이용해 진행이 되었는데, 문제는 캡쳐를 못해서 써놨던 내용을 복기해서 작성하는 Write up이다. 거의 대부분의 문제는 S1_Docs_Malware.vmx 파일로 진행된다. 해당 파일은 침해사고가 발생한 Windows10 시스템을 이미징한 것이다. D-1 문제는 이전 C-3에서 계속 이어지는 문제이다. (https://hackingstudypad.tistory.com/578) D-1 자동 실행 악성코드가 추가 페이로드를 다운로드 받는 아이피와 파일 경로는 무엇인가? D-1 은 자동 실행 악성코드가 추가 페이로드를 다운받는 서버 주소와 해당 파일의 경로를 찾는 문제이다. 자동 실행 악성코드는..

CTF/포렌식 2023.07.27

[2021 화이트햇 콘테스트] C-3 - 포렌식 / WinPrefetchView

2021 화이트햇 콘테스트 예선전에 나왔던 문제 시간이 꽤 지났지만 하나씩 문제풀이를 올려본다. CTFD 플랫폼을 이용해 진행이 되었는데, 문제는 캡쳐를 못해서 써놨던 내용을 복기해서 작성하는 Write up이다. 거의 대부분의 문제는 S1_Docs_Malware.vmx 파일로 진행된다. 해당 파일은 침해사고가 발생한 Windows10 시스템을 이미징한 것이다. C-3 문제는 이전 C-2에서 계속 이어지는 문제이다. (https://hackingstudypad.tistory.com/577) 지난번 문제에선 hwp 파일의 postscript 를 분석해 \\Miscosoft\\Windows\\Start Menu\\Programs\\StartUp 에 IIsExt.vbs 파일이 생성된다는 것을 알았고, 파일 속..

CTF/포렌식 2023.07.25
반응형